52.55.55.239
52.55.55.239
close menu
KCI 등재
보통체회화에 나타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종조사 사용실태
Reality of usage of sentence final particles in Japanese by Korean Learner of Japanese Language as shown in their plain-style conversation
요시다다카 ( Yoshida Taka )
UCI I410-ECN-0102-2015-800-000338842

일본어로 대화할 경우 상대와의 관계, 정보의 유무, 성별 등에 따라 문말형식 을 구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종조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 으며, 특히 보통체회화에서는 종조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자연스러운 대화가 이 루어지지 않는다. 본고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가 친한 친구와 보통체로 대화할 때 나타나는 종조사를 조사하여, 일본어모어화자의 사용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특징과 문제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결과, 모어화자는 친한 친구와 대화를 할 때 ``ね>な>よね>よ>さ> じゃん``의 순서로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인터뷰회화에서 나타난 종조사의 사용과 비교하면, ``ね``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よ ね``나 독백으로 사용되는 ``な``의 사용이 많았다는 점과, 인터뷰회화에는 나타나 지 않았던 ``さ``나 ``じゃん``의 사용이 증가하는 등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자는 ``ね>な>よ>じゃん>よね>さ``의 순서로 사용 빈도가 높았 으며, 모어화자와 비교해 ``よ``의 사용빈도가 높았고, 반대로 ``よね``의 사용수가 적었다. 또한 ``じゃん``는 학습자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었으나 ``さ``를 사용하는 학습자가 많지 않다는 점 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남녀별 차이를 보면 남성학습자는 ``な``와 ``ね``, 여성학습자는 ``ね``와 ``よ``의 사 용빈도가 높았고, 남성학습자의 경우 ``そうね``처럼 체언에 직접 ``ね``를 부가하거 나 "ね"의 과잉 사용으로 인해 여성스럽다는 인상을 주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 일본 거주기간별로 살펴보면, 거주기간이 짧은 학습자일수록 ``よ``를 많이 사 용하고 있었다. ``よ``는 정보적으로 자신이 우세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종조사이 기 때문에, 모어화자의 경우 ``よ``대신 ``よね``나 다른 문말형식을 사용하여 정보 적으로 자신이 우세한 입장에 있다는 것을 주장하지 않도록 배려하면서 대화를 진행하려고 하는 반해, 일본 거주경험이 적은 학습자일수록 이러한 대우적인 배려를 습득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조사 대상자와 같은 주로 한국에서 일본어를 학습한 학습자의 경우 주 의 환경에서 오는 자연적 입력이 절대적으로 적고, 교육현장에서도 종조사교육 이 자세히 이루어져있지 않기 때문에 종조사 습득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학습 자가 많을 것으로 사려 된다. 상급학습자일수록 올바르지 못한 종조사로 인해 상대에게 오해를 주는 상황도 충분히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보통체형을 도입할 때 형태적인 설명만 아니라 대우적인 면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 필요하다.

When speaking Japanese language, especially when talking in normal form, one should distinguish format of the end of each sentenc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existence of information, and gender. Especially, sentence-ending particles in Japanese plays an important role. This article aims to show features and problems of the usage of sentence-ending particles in Japanese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language("Korean learners") when they speak with close friends in normal form, by comparing such usage with that if Japanese who`s mother language is Japanese("Japanese speakers") and by analyzing it. As a result of research, it turned out that Japanese speakers uses such sentence-ending particles in Japanese as, in an order of frequent usage, ``ね>な>よ ね>よ>さ>じゃん,`` when they speak to close friends. When comparing it with their usage in formal interviews,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regarding the most frequent use of ``ね``; that, however, they frequently used ``よね`` or ``な`` even though ``な`` is used for monologue; and that the use of ``さ`` or ``じゃん`` that did not appear in the interviews was increased in the conversation with close friends. In case of Korean learners, it turned out that they uses such sentence-ending particles in Japanese as, in an order of frequent usage, ``ね>な>よ>じゃん>よ ね>さ``; that, compared to Japanese speakers, they more frequently used ``よ`` and less frequently used ``よね``; and that there were not many Korean learners who use ``さ`` although most of them use ``じゃん``. A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ale Korean learners frequently used ``な`` and ``ね``, compared to the female Korean learners who frequently used ``ね`` and ``よ``.There were occasions where uses of sentence-ending particles in Japanese by male Korean learners give impression of use by female in that they added ``ね`` directly to an uninflected word, as shown in ``そうね``, and that they use "ね" too much. In terms of length of residence in Japan, Korean learners who have shorter period of residence in Japan is more likely to use ``よ`` frequently. Because ``よ`` is a sentence-ending particle in Japanese indicating that the speaker prevails in terms of information, Japanese speakers tend to continue conversation while considering opposite party through using ``よね`` or other different ending formats instead of ``よ``, in order not to reveal that the speaker prevails on information.In contrast to that, it turned out to be difficult for Korean learners whose residence in Japan is short to learn and use such consideration for courtesy. In case of JFL,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many Korean learners who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sentence final particles in Japanese due to lack of inputs from the surroundings and due to lack of detailed education of use of sentence final particles in Japanese in education system.Education focusing on consideration for courtesy when using plain-style, as well as on explanation of formats, is necessary,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Korean learners in upper levels are more likely to cause misunderstanding by their conversation partners due to their wrong use of sentence final particles in Japanese.

1. はじめに
2. 先行硏究
3. 硏究方法
4. 調査結果
5. まとめ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