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15.149
3.16.15.149
close menu
KCI 등재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에 나타난 촉예(觸穢)와 근신(謹愼) -"게가레(穢れ)" "이미(忌)" "쓰쓰시미(つつしみ)"라는 표현에 주목하여-
Pollution and Isolation in Genji Monogatari -In Observation of the Expressions "Kegare," "Imi" and "Tsutsusimi"-
이미숙 ( Mi Suk Lee )
UCI I410-ECN-0102-2015-800-000339016

본고는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에 나타난 ``게가레(穢れ)``, ``이미(忌)``, ``쓰쓰시미(つつしみ)``라는 표현에 주목하여, 그 용례의 분석을 통하여 헤이안 시대 귀족들의 일상생활에 뿌리내리고 있던 ``촉예(觸穢, 부정 탐)``와 그 해소행 위인 ``근신(謹愼)``이 작품 속에 어떻게 기술되어 있으며, 작품 형성의 한 방법으 로서 작품의 내적 전개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헤이안 시대 촉예의 규정은 『엔기시키(延喜式)』「임시제(臨時祭)」의 조 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엔기시키』에 규정된 촉예의 대상은 죽음 부정(死 穢)·출산 부정(産穢), 이장(移葬)과 유산 부정인데, 그 밖에 화재나 여성의 달거 리도 부정의 대상이었다. 『겐지 모노가타리』에서 촉예를 직접적으로 나타내 는 ``게가레``라는 표현은 15회 사용되고 있다. 그중 11회가 유가오(夕顔)와 우키 후네(浮舟)의 죽음과 관련된 죽음 부정이라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두 사람의 죽음이 ``게가라이(穢らひ)``로 간주된 이유의 하나는 그녀들의 죽음이 횡사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자연사라 할지라도 죽음은 부정을 타는 대 상일진대 『겐지 모노가타리』에서 두 사람의 죽음만 부정의 대상으로 기술되 고 있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는 유가오와 우키후네가 지닌 존재성, 즉 한 곳에 뿌리내리지 못하고 떠도는 여성이라는 두 여성의 존재성이 죽음의 장면에까지 관철된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겐지 모노가타리』에 죽음 부정을 떨쳐버리기 위한 ``이미(忌)``의 용례는 19회인데, 죽음과 ``이미``는 남은 중심인물 의 입장에서 기술되어 있으며, 이후의 작품 전개와 밀접하게 연결된 하나의 계 기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겐지 모노가타리』 내 ``모노이미(物忌)``는 19회 중 12회, ``쓰쓰시 미``는 22회 중 5회가 실제적인 것이 아니라 ``어떤 일의 구실``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용례를 통해, 남성이 새로운 여성과의 ``밀회를 위한 구실(口實)``로서 ``모 노이미``를 이유로 들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히카루겐지와 가오루·니오노 미야(내宮)라는 남성들과 그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여성들의 사랑 이야기를 큰 축으로 삼고 있는 『겐지 모노가타리』의 기본 구도를 생각할 때, 사랑의 계기 가 되는 ``사랑의 장(場) 만들기``라는 ``모노이미``의 설정은 작품의 근간과 관련이 있는 만큼 작품 형성의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겐지 모노가타리』에는 회임과 출산과 관련하여 순산을 기원 하는 ``쓰쓰시미``라는 표현이 3회 쓰이고 있다. 헤이안 시대의 출산은 귀족들의 일상생활에 뿌리내리고 있던 부정을 타는 행위였다. 그런데 히카루겐지, 유기 리, 아카시노히메기미(明石の姬君) 소생의 동궁, 가오루와 같이 작품의 축을 이 루는 중심인물들의 탄생을 그리고 있는 『겐지 모노가타리』 내 출산장면에서 주목할 점은, 출산 후의 부정보다는 태어난 아이가 가져온 인간관계의 양상과 이후의 작품 전개가 중점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결국, 『겐지 모노가타리』에서 ``게가레``, ``이미``, ``쓰쓰시미``라는 표현으로 기술되어 있는 헤이안 시대 귀족들의 일상생활에 밀착되어 있던 ``촉예``와 ``근신`` 은, 작품의 전개를 촉진시키는 계기로서 작품 형성의 한 방법으로 설정되어 있 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 observation of the expressions ``Kegare,`` ``Tsutsusimi`` and ``Imi`` appearing in Genji Monogatari, investigated how ``pollution`` and ``isolation,`` which had taken root in everyday life of the nobility in the Heian period of Japan, was described in the work and how they are related to its internal development as a means to forming the 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examples. Definition of pollution in the Heian period can be verified in the text of Engisiki, which says the object of pollution is the impurity of death, childbirth, removal of a grave to another place and miscarriage, plus a fire and woman`s menstruation. Genji Monogatari contains 15 examples of the expression ``Kegare`` in direct reference to pollution, of which, remarkably eleven is the impurity of death in relation to Yugao`s and Ukihune`s. One reason for the two persons` death being considered ``Kegarai`` must be that these women`s death was an unnatural death. Since even a natural death was the object of impurity, however, only the death of these two being described as the object of impurity in Genji Monogatari means that the existence as a rootless and wandering woman for case of Yugao and Ukihune carried through even to the scene of death. Furthermore, there are 19 examples of ``Imi`` used to get rid of the impurity of death in Genji Monogatari, while death and ``Imi`` ar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maining central characters seemingly as an opportunity in close connection to the development of work thereafter. Next, in Genji Monogatari, for ``Monoimi,`` twelve examples out of nineteen, and for ``Tsutsusimi,`` five examples out of twenty two are used for ``an excuse of something,`` not a practical one. Through these examples, it is found that ``Monoimi`` is cited by man as ``an excuse for rendezvous`` with a new woman. Considering the basic composition of Genji Monogatari with a big axis on men such as Hikarugenji and Kaoru·Niounomiya and women in relations to them, setting of ``Monoimi,`` or ``making a place of love`` to serve as an opportunity for love, can be understood as a method of forming the work because it is related to its fundamental part. Lastly, in Genji Monogatari, there are three examples of the expression ``Tsutsusimi,`` which is a prayer for an easy delivery in relation to pregnancy and childbirth. Childbirth in the Heian period was an act of impurity that had taken root in everyday life of the nobility. However, in Genji Monogatari, for case of Crown Prince born to Hikarugenji, Yugiri and Akasinohimegimi, or Kaoru that portrays the birth of the central character to form an axis of work, childbirth does not accompany impurity but attaches a greater importance to the later development of work that the child is to bring on.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the pollution and isolation described in Genji Monogatari as ``Kegare,`` ``Imi,`` and ``Tsutsusimi`` in close contact with the everyday life of the nobility in the Heian period have been set as a method to form a story upon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work.

1. はじめに
2. 平安時代の觸穢と『源氏物語』の「穢れ」
3. 物語の展開を促す契機としての「忌」
4 . 「つつしみ」と『源氏物語』の出産
5. おわりに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