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29.19
18.221.129.19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의 적응행동 관련 연구동향과 과제: 2002-2013년 국내 중재연구를 중심으로
Adaptive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 Analysis of Korean Intervention Studies Published from 2002 to 2013
서효정 ( Hyo Jeong Seo )
UCI I410-ECN-0102-2015-300-000330290

지적장애 학생의 적응행동 증진은 학생들의 사회적 통합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학생 및 학생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핵심적인 영역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왔다. 이에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3년에 발표된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의 적응행동과 관련된 국내 중재연구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적응행동 연구자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80편의 중재연구를 적응행동의 하위 영역에 따라 1차적으로 분석을 하고, 발표 연도 및 학술지에 따른 연구 분포, 연구대상, 연구방법, 중재프로그램(독립변인), 측정변인 (종속변인)의 5가지 주제로 2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적응행동 중재연구는 2000년 초반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표되었고, 연구대상자가 저학년일수록 의사소통기술 및 기능적 학업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결과, 단일대상연구를 활용한 적응행동 중재연구가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중재가 학교 내부의 환경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중재프로그램도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지역사회 중심교육과정, 활동 중심 프로그램, 자기결정 증진 관련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연구에서 종속변인으로 측정된 적응행동의 하위 기술은 몇몇의 제한된 기술에 다소 편중되어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의 적응행동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들이 제공되었다.

Adaptive behavior, along with intellectual functioning,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diagnosing intellectual disability over last several decad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adaptive behavior in live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s literature review examined domestic intervention studies that aimed to improve levels of adaptive behavior demonstrated by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the criteria identified in this study, a total of 80 studies published from 2002 to 2013 were included. Once selected, each study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following variables: (a) study topics (initial topics to categorize studies: an overall adaptive behavior, conceptual skills, social skills, and practical skills), (b) publication years and journals, (c) participants, (d) research methods, (e) interventions (independent variables), and (f) dependent variables. Based upon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re provided as follows: (a) expanding the scope of study participants, (b)collaborating with family or other service providers to improve students`` levels of adaptive behavior, (c) taking advantage of the technology (especially the use of smart-phones), and (d) enlarging and/or balancing research areas of adaptive behavior.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