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233.41
3.21.233.41
close menu
KCI 등재
마르틴 부버의 "만남"의 철학에 기반한 장애이해교육의 재구성
Reorganiz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Based on Martin Buber`s "Encounter" Philosophy
신현기 ( Hyun Ki Shin )
지적장애연구 16권 2호 107-133(27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330316

우리나라의 장애이해교육이 학교현장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실효성 있는 방법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지금처럼 비장애인들에게 장애인의 특정한 장애특성을 이해시키려는 시도보다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공유할 수 있는 사람 자체에 대한 근본적이며 공감적인 이해교육으로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종래의 장애이해교육 방법론은 비장애인들에게는 이질적인 장애인의 장애특성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해보도록 하는 다소 감성기반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저들의 불편함에 대한 이해를 통한 도움주기나 친구 되기 등과 같은 다소 인위적이고 일방적인 성격이 컸다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는 일시적인 장애이해교육의 효과를 가져 올 수는 있을지라도 종국에는 저들의 이질적인 장애특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오히려 학교 및 사회에서 빈발하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의 이질감 증폭, 왕따, 학교폭력, 일방적 심부름꾼 역할의 강요와 같은 현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이해교육의 근간은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인간에 관한 근본적인 이해에 터하여야 한다는 가정 아래 마르틴 부버의 ``만남(encounter)``의 철학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장애이해교육의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버의 만남의 철학은 곧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회복은 진정한 대화(genuine dialogue)에 있음을 강조하기에 장애이해교육에서의 차별성 부각을 통한 연민적 장애 이해교육을 부버의 수단형 관계(``I-It``)로 설명할 수 있었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사람 중심(we``re people first)의 목적형 관계(``I-Thou``)로의 장애이해교육이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었기에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관련 문헌의 사례를 연관 지어 설명함으로써 통하여 장애이해교육의 재구성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o mak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effective not only in schools but also in the whole society in Korea, we need to reorganize it based on fundamental understandings of human being itself that persons with/without disabilities can share with rather than hitherto conducted attempts to make the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understoo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Traditional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s have relied on the rather sensitive methodology letting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experience specific inconveniences. This kind of education used to induce just ``giving help``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or ``being a friend of them`` and can be depicted as rather artificial and one-sided. Sometimes, these attempts can bring some temporary positive outcomes, but in many times, give salience to a disability itself and result in negative effects such as bullying, school violence, exploiting, etc. between students with/ without disabilities. In this research, the author tried to present reorganization strategies based on Martin Buber``s `Encounter`` philosophy that emphasiz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itself beyond ``disabilities`` or ``abilities. ``Because Martin Buber``s `Encounter`` philosophy stresses genuine dialogue for recovery of relationship among people, th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can be explained as Buber`s’I-It``, so called relationship as a method, and as an alternative, We can present alternativ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s emphasizing ``I-Thou``, so called relationship as an objective which can be expressed as ``we``re people first.`` The author, therefore, gave some relevant literature and explained them for suggesting the need for reorganiz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Ⅰ. 서 론
Ⅱ. 부버 철학의 바탕어: '만남'의 함의
Ⅲ. '만남' 척학에 기반한 장애이해교육으로의 재구성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