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100.120
3.141.100.120
close menu
KCI 등재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언어 특성
Characteristic of Pragmatic Languag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박지혜 ( Ji Hye Park ) , 김화수 ( Wha Soo Kim ) , 박정식 ( Jung Sik Park )
지적장애연구 16권 2호 153-175(23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330336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언어 능력(이야기 다시 말하기, 이야기 이해,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분석하고, 이를 동일 어휘연령의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화용언어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어휘연령이 6-10세인 지적장애 아동 20명과 이와 동일한 어휘연령의 일반아동 20명이었으며 각 집단에 대하여 이야기를 제시한 다음, 들은 이야기를 회상하여 다시 말하도록 하였으며 산출한 이야기를 유효정보단위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야기에 대한 이해능력을 점수화하기 위하여 질문에 대한 아동의 응답을 채점기준에 따라 체크하였다. 이에 더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화용언어 체크리스트를 구성하여 양육자에게 작성하도록 한 후, 화용언어 능력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연령 6-7세의 지적장애 아동은 어휘연령이 동일한 일반 아동에 비해 이야기 다시 말하기 및 이야기 이해,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유의미했다. 어휘연령 9-10세의 지적장애 아동은 이야기 다시 말하기와 이야기 이해 점수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휘연령 6-7세, 9-10세 지적장애 아동은 이야기 다시 말하기 및 이야기 이해 능력에서 어휘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에서는 어휘연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적장애 아동의 진단 및 중재 시 의미·구문에 더하여 화용언어 접근은 매우 중요하며 더 나아가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은 이야기 중재만으로는 부족하므로, 자연스런 의사소통을 적절히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The study is aimed to find out pragmatic language characteristics(story retelling, story comprehension and social-communicative competenc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lexical competence. The subject of the study is mainly consisted of two group which is twenty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nother twenty normal children - twenty children who have 6 to 10-year-ol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order to measure the story retelling competence, children were to speak about a story after they were told the story. In order to measure the story comprehension competence, children were examined by questions about the story. Furthermore, in order to measure the social communicative competence, fosterers were given a checklist to measure pragmatic competence and compare linguistic ability.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 First,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criteria - story retelling and story comprehension competence while ther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agmatic competence. Secondly, children who have poor lexical competence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y retelling, story comprehension competence and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e. Howeve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have advanced lexical competence shows only difference in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e, two other competences were presented to be similar instead.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부록Ⅰ. 사회적 의사소통 체크리스트의 범주와 문항, 정의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