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0.1
3.149.250.1
close menu
KCI 등재
특수교육 수업 관찰연구 분석
A Review of Literature on the Class Observation and Analysis in Special Education
김성희 ( Seoung Hee Kim ) , 김진호 ( Jin Ho Kim )
지적장애연구 16권 2호 227-251(25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330361

수업은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활동이며, 수업을 관찰하여 분석하는 것은 수업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수업을 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한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수업 분석연구의 특성과 분석 방법 및 변인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통하여 특수교육의 수업을 개선하고 수업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기준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교육 수업을 실제로 관찰하고 분석한 국내의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서 18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으며, 두개의 분석영역(개괄적 특성, 분석 방법 및 변인)에 따른 총 8개의 분석 변인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의 개괄적 특성에 대한 결과로서 먼저 수업 관찰 및 분석은 주로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대상학생들의 장애유형은 정신지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관찰 및 분석이 실시된 배치환경은 특수학교에서 많이 이루어졌으며, 교과목은 국어, 수학, 사회, 과학의 주지교과 중심으로 수업분석연구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들의 수업분석 방법과 변인에 대한 결과에서 자료수집 방법은 수업 동영상을 활용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방법의 유형으로서는 양적 수업분석에 속하는 필터식 수업분석법이 많이 실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분석 요소에 있어서는 교사 행동에 초점을 둔 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각 분석 요소에 따른 빈도와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수교육의 수업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특수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장애영역과 교과목에 따른 심층적인 수업 관찰 및 분석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Education is implemented in forms of classroom teaching, and classes are realized through the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teachers, students, textbooks, and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lass analysis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and suggest basic essential data for conducting future studies of classroom teaching analysis. Domestic special education studies were searched and a total of 18 studies were selected. This review study used a total of 8 analytical factors (disability area of research participants, school class, environment arrangement,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subject, data collection method, analysis method of classroom teaching, major analytical variable) for evidential class analysis.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regarding general content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most frequent disability category of the target students was classified as mental retardation. Main targets of observation were classified as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observation of classroom teaching were mainly conducted in classroom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of general schools. And subjects of observa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were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etc. The video collection method was generally conducted by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most common analysis method of classroom teaching was the filter classroom analysis which is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major class analytical variables, most previous studies usually conducted observation and analysis based on teacher,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 medium, teacher and student interaction, etc.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interest should be given to multilateral class analysis variables in special education.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as presented in terms of disability categories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