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175.200.199
35.175.200.199
close menu
KCI 등재
초기사림파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 한 인간의 복원과 조선전기 지성사에 대한 반성적 이해를 위하여 mage Creation
Process of the Clan Members of Initial Stage Salimpa(初期士林派)
김보경 ( Bo Kyeong Kim )
한국고전연구 29권 267-311(45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331338

迂拙齋(우졸재) 朴漢柱(박한주)(1459-1504)는 金宗直(금종직)의 門人(문인)으로, 조선전기 지성의 한 면목을 엿보게 해 줄 뿐만 아니라 初期士林派(초기사림파)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을 흥미롭게 보여 준다. 박한주 생애자료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은 그의 외손 周博(주박)이 찬한 行狀(행장)이다. 이 글에서는 아직 특정 이데올로그로 규격화하지 않은 느슨한 박한주를 볼 수 있다. 현양사업의 추이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먼저 임란 직전 鄭逑(정구)가 함안의 묘소를 정비하고 제사를 지내면서 그는 충신의 표상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후 충신의 표상 위에 도학자의 표상이 더해지는데 후자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난후에는 밀양의 향촌질서를 재정비하는 작업과 연동되어 현양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박한주는 김종직과 연결되어 도학적 관점에서 재평가되었다. 17세기 중반을 전후해서는 박한주 현양이 禮林書院(례림서원)·閭表碑(여표비)등 사회적 표식의 형태로 추진되는 가운데 김종직 도학의 嫡傳化(적전화)가 시도되었다. 18세기 현양사업의 특징은 박한주의 족손 朴壽春(박수춘)과 결합되어 전개된 것이다. 그중 南岡書院(남강서원) 請額疏(청액소)는 국가적 공인을 받기 위한 노력으로, 道統(도통)의 관점에서 박한주의 위상을 재정의하였다. 도학자 박한주를 만드는 데는 현양사업의 주체들 즉 密陽(밀양) 士林의 의지, 밀양 박씨 문중의 노력, 그리고 退溪-寒岡 연원 학파의 협조가 공동으로 작용했다. 유의할 것은 도학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김종직이나 金宏弼(금굉필)·鄭汝昌(정여창)과 과도하게 결합, 명명되면서 오히려 박한주의 실체가 왜소하게 제약되었다는 점이다. 박한주가 남긴 작품을 돌아보면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라는 주제의식을 문학적 역량을 다해 형상화하고 있는 ‘글 잘 쓰는 사람’ 박한주를 만나게 된다. 經術(경술)과 文才 어느 한쪽으로는 그의 온전한 얼굴을 복원할 수 없다. 性理(성리) 학문을 익히는 박한주, 道(도)·佛書(불서)도 버리지 않은 박한주, 『楚辭(초사)』 읽기를 좋아하고 글을 잘 썼던 박한주. 이것을 아우른 모습이야말로 당대 생생하게 살아있던 실존으로서의 박한주였으리라. 우리가 기록/기억하고 있는 그들은 도학, 도통, 문묘, 서원의 이름으로 기획된 얼굴이 아닌지, 또 지금 우리는 다시 그들을 ‘초기사림파’라는 이름으로 분칠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할 일이다. 특히 박한주의 경우 김종직과 김굉필·정여창에게 강하게 결박된 채 기록/기억되어 왔으므로 이중으로 왜소화(또는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박한주 연구에서 이 점이 각별히 유의되어야 할 것이다.

Ohjojjae Park Han-joo(迂拙齋 朴漢柱, 1459-1504) was Kim Jong-jik(金宗直)``s clan member, and he amusingly shows the image creation process of the initial stage Salimpa, a Confucian School. Among the lifetime materials of Park Han-joo, the earliest period material was Haengjang(行狀) compiled by his daughter``s son, Ju Bak(周博). In Haengjang, loose Park Han-joo, who was yet to be standardized with specific ideology, can be viewed. Examining in relation with the trend of his exaltation, Park Han-joo emerged as the symbol of loyal subject, as Jung Goo(鄭逑) reorganized the grave of Park Han-joo in Haman(咸安) and performed ancestral rites, just befor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Since then, the symbol as a moralist was added on top of the symbol as a loyal subject, and the symbol as a moralist was more fortifi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the exaltation of Park Han-joo was conducted in linkage with the reorganization of country order in Milyang(密陽). In such a process, Park Han-joo was re-evaluated from an ethical perspective in connection with Kim Jong-jik. The exaltation of Park Ha-joo in about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was promoted as the type of social marking including Yerim Seowon(禮林書院) and Yeopyobi(閭表碑). In those days, an attempt to make Park Han-joo as Kim Jong-jik ethics`` orthodox disciple was carried out. The exaltation of Park Han-joo in the 18th century was undertaken in combination with Park Su-choon(朴壽春), a sort of his grandchild. Especially, Sa-Aek-So, a pubic appeal of Namgang Seowon(南岡書院請額疏) was an effort to receive national official approval, which re-enhanced the status of Park Han-joo from the moral perspective. Concerning the main players of exaltation of Park Han-joo, a moralist, expecially, the intention of Milyang Salim(密陽士林), efforts of Milyang Park Family and the cooperation of Yeonwon School of Toegye(退溪)-Hangang(寒岡) were jointly operated. Bottom line is that the true nature of Park Han-joo was restricted and underestimated, as he was named in excessive combination with Kim Jong-jik, Kim Goeng-pil(金宏弼) and Jeong Yeo-chang(鄭汝昌) in the process of making him a moralist. Looking at the works Park Han-joo left, readers can meet him as a good writer that embodies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Struggle for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Nation``s Vision and Social Morality" through his full literary competency. His true nature cannot be fully restored with only one side between studies researching Confucian Classics and literary talent. Park Han-joo learned Neo-Confucianism(性理), did not throw away Taoism and Buddhism books, loved to read the Chu Ci(楚辭) and was a good writer. All these images could be the vividly living existence of Park Han-joo. We need to reflect on ourselves about whether what we remember or record are the faces planned in the names of ethics, Confucian shrine and Seowon (lecture hall) or whether we decorate the images of Park Han-joo in the name of initial stage Salimpa again. Since Park Han-joo was recorded and has been remembered being bound by Kim Jong-jik, Kim Goeng-pil and Jeong Yeo-chang more than anyone else, there is a huge possibility that he was underestimated or distorted in duplicate way. Attention should be especially paid to this in studying Park Han-joo.

1. 들어가며
2. 발단, 박한주에 대한 몇 가지 의문
3. 박한주 현양사업의 추이와 이미지 형성 과정
4. 마무리 그리고 남은 문제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