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44.108
18.224.44.108
close menu
KCI 후보
한국어 문화 분리 교재의 내용 분석
박영미
다문화와 평화 8권 1호 104-142(39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333579

본 연구는 한국어 문화 교재를 분석하여 한국어 문화 분리 교재의 선택과 연구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기존의 한국어 교재는 연구 대상이 아니며 한국어 문화 교재 중에서 특정한 항목만을 대상으로 한 문화 교재도 제외한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문화 교재를 각각 개별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문화 항목별로 그 빈도를 조사하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필자는 한국어 문화 분리 교재를 통해 문화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고 특징을 정리하는 것으로 본 연구 범위를 한정한다. 문화 유형별로 행동문화가 가장 많이 실렸고, 일반 목적 교재에서는 행동문화가, 학문 목적 교재에서는 성취문화가 더 많은 비중의 내용이 실려 있었다. 시기별 교재 내용은 시기마다 약간의 차이점이 있었으며, 행동 문화는 초급, 성취문화와 행동문화 모두는 중·고급에 올라 갈수록 많이 나타났다. 대상별 교재에서는 행동문화가 대부분이었다. 이와 같이 한국어 문화 교재를 각 권마다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전체적인 문화 교육 내용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문화 교재의 선택과 개발에 많은 참고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이후 연구 자료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본다.

This research wishes to aid selection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separation textbook analyzing Korean culture textbook. Therefore, existent Korean textbook is not research target, and culture textbooks that contain particular item among Korean culture textbook excepts. We examine Korean culture textbook until now each individually, and furthermore wish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to culture item and grasp actual conditions. Writer limits research extent that examine actual conditions of culture education through Korean culture separation textbook, that arrange characteristics. Action culture loaded most in culture type, and action culture in general purpose textbook, by more weights accomplishment culture in learning purpose textbook. There were some difference in time with textbook contents by year, action culture appeared much primary grade, accomplishment culture and action culture appeared much rise by middle·advanced grade. Action culture appeared most in target textbook. Thus we think that by examine education contents of Korean culture textbook concretely in each book and analyze whole culture education contents in various angle, it can become many references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 textbook hereafter. And this research is going to cause much effects to after this research material.

I. 머리말
Ⅱ.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과 분석
Ⅲ. 한국어 문화 교재의 교육 내용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