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81.94
3.16.81.94
close menu
KCI 등재
방송종사자의 감사성향이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of broadcast workers on 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문정리 ( Moon Jeong Lee ) , 최연실 ( Choi Youn Shil )
상담학연구 15권 3호 1035-1048(14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32534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성향이 방송종사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 서 정서조절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176명이었으며, SPSS 18.0과 AMOS 16.0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Baron & Kenny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감사성향과 정서조절 및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 째, 감사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응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감사성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역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적응적 정서조절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부적응적 정서조절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방송종 사자의 감사성향이 정서조절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으며,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높은 관련성을 위해서는 적응적 정서조절이 매개가 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방송종사자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정서조절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과학적으로 검증하였으며, 방송종사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활동개발을 위 해 방송종사자들만의 특수한 노동환경을 고려한 정서배경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of broadcast workers. There were 176 subjects in this study utilizing SPSS 18.0 and AMOS 16.0 to perform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s a result, first of all, gratitude disposition was confirm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n the effect that gratitude disposition ha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er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Thirdly,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in the effect that gratitude disposition ha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as also discovered to b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More specifically, it was found out that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and mal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h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Hereupon, it is assumed that gratitude disposition might influence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broadcast workers representing high correlation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mediator of adaptive emotional regulation. La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such an environment considering how the result of this study scientifically provides the basis of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motional regulation by verifying it to be a special labor environment on the development of activity for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of broadcast workers.

서 론
방 법
연구결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