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150.55
52.14.150.55
close menu
KCI 등재
사건의 공백(void)과 급진적 분할(division)의 주체 -바디우와 아감벤의 바울의 주체 개념을 중심으로-
Void of the Event and Radical Division -Considering the Subject of Saint Paul in Badiou and Agamben-
김성민 ( Sung Min Kim )
시대와 철학 25권 2호 37-70(34pages)
UCI I410-ECN-0102-2015-100-000314110

본 논문은 바디우와 아감벤의 바울의 주체에 대한 이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디우의 주체는 공백의 촉발에 의해 출현하는 사건의 주체 개념을 통해 보편에 주목하는 반면, 아감벤은 ‘분할의 분할’을 통해 ‘남겨진 자’라는 특수에 주목한다. 이들이 주체에 대해 이해하는 방식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지만, 결국 이들에게서 모두 보편과 특수를 넘어서 새로운 보편성을 확립하는 방식으로 주체를 세우고자 하는 노력을 읽을 수 있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파국적 상황들 가운데서 보편과 특수를 넘어서는 주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이유는 단순히 기존의 보편과 특수의 논의로 포착되지 않는 주체의 자리가 있기 때문이다. 바디우와 아감벤의 주체에 대한 논의는 특수와의 단절과 분할을 통해 전체에도 귀속되지 않으면서도 특수에도 제한되지 않는 새로운 보편과 특수를 향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를 통해 ‘버림받은자’들인 잔여들이 이 사회의 새로운 보편으로 사유하도록 요청 받는 현실 가운데서 기존의 자기 동일적 주체는 파국적 사건들로 인해 새로운 보편성을 확보한 잔여의 주체로 새롭게 인식되어야 한다. 바디우와 아감벤의 주체에 대한 논의는 보편과 특수를 횡단하여 새로운 보편성과 새로운 특수 즉 보편적 단독자 논의의 단초를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바디우와 아감벤이 이해하는 바울의 주체는 투쟁을 만들어내는 공백과 급진적 분할의 무위와 연결되어 있음도 알게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s the similarity of the meaning of the subjectivity between Alain Badiou and Giorgio Agamben through Saint Paul. The subject of Badiou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Void which produces the event, while Agamben`s i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Remnant. Badiou and Agamben develop the similar meaning of Saint Paul`s subject, although they take different approaches. We can find their efforts which they try to build the new concept of universality in their texts. Itis important to inquire the meaning of subject beyond the boundary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n catastrophic time such as the disastrous accident of Sewol ferry sinking, because we must consider the accident as the event through the positioning the subject into universal particularity. The dead as the remnant at this accident may be represented as the being of ‘inclusive exclusion’ in our society, so that they have to be replaced by ourselves in any particular situation. In addition, we can find too that the subject of Badiou and Agamben through Zizek may be the void and radical division for the struggle of our political situation.

1. 들어가면서: 세월호 참사 사건에 대한 한 가지 철학적 질문
2. 보편성과 잔여 사이의 정치적 주체
3. 파국적 주체: ‘아무 것도 아님(nothing)’의 투쟁
4. 맺으면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