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87.199
18.226.187.199
close menu
KCI 등재
비정규직 기혼여성의 정규직 이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hifting Contingent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nto Permanent Employment Position
김승완 ( Soung Wan Kim ) , 정상희 ( Sang Hee Jung )
UCI I410-ECN-0102-2015-300-000307497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경제활동참여는 여전히 50%를 밑돌고 있다. 대부분 기혼여성의 일자리는 비정규직으로 저임금의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내몰리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또한 비정규직고용이 확산되면서 비정규직 일자리의 특성과 함께 비정규직으로 진입한 근로자가 정규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비정규직 기혼여성의 정규직 이행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여성가족패널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생존분석(Survival Analysis)을 통해서 위험률(hazard rate)을 추정하였다.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이 기혼여성의 정규직 전환에 상대적으로 더 적합한 업종이며, 높은 임금수준은 기혼여성의 정규직화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계의 괜찮은 경제적 수준과 높은 임금은 자녀양육에 대한 효과를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정규직을 선택하려는 유인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혼여성이 정규직으로 전환되기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였다.

In spite of the consistent interest and effort for the married women`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e rate of their economic participation in Korea has been still less than 50 percent. This could become a serious issue as most jobs for married women are contingent works and they have been thrown into poor working condition with low salary. With such characteristics of contingent employment, it poses another problem about whether contingent employees can change their temporary position to a permanent posi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shifting contingent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nto permanent employment position. Based on the data from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1st~3rd year), the hazard rate was estimated by using survival analysis. The results shows that service industry jobs offers relatively more opportunities of entering into permanent employment than manufacturing jobs. And a high wage level appears to be advantageous for shifting contingent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nto permanent employment. In other words, a fine economic level of household and a high wage can reduce the effects of child-rearing and increase the factors nudging to choose a permanent employment.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policy directions for shifting contingent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nto permanent employment position.

Ⅰ. 서 론
Ⅱ. 비정규직 기혼여성의 정규직 이행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