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8.79.88
3.128.79.88
close menu
KCI 등재
기획주제:핵심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 발전 방안; 융복합시대 의사소통교육의 외연
Extent of Rhetorike-Education in the Era of "Intellectual Fusion"
손동현 ( Dong Hyun Son )
작문연구 21권 9-27(19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293184

의사소통교육의 원형은 ‘문해’(文解, Literacy) 교육이고, 문해교육은 교육의 근본이다. 그런데 이 문해교육의 핵심에는 사고교육이 깃들어 잇다. 문해능력을 토대로 의사소통하는 것 자체가 사고능력을 전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 우리가 의사소통이라고 일컫는 것의 고전적 원형인 “레토리케”(techne rhetorike) 안에도 합리적 사고(logos)가 핵심적인 것이었다. 언어적 의사소통 활동의 전제가 사고활동이라 할 수 있으니, 얼핏 보면 사고가 먼저고 언어는 그 사고의 결과를 담아내는 수단일 뿐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우리는 침묵 속에서도 언제나 ‘말로써’ 생각을 한다. 언어가 모두 지워지고 나면 사고도 멈춘다. 언어가 없는 순수한 사고란 있을 수가 없다. 그러니, 사고가 언어의 가능조건이기도 하지만 언어가 사고의 가능조건이기도 하다. 이렇게 보면, 언어교육과 사고교육은 따로 떼어놓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의사소통교육이라면 흔히 글쓰기와 말하기를 염두에 둘 뿐 사고교육은 이와 별도로 생각하는데, 이는 잘못이다. 언어교육은 어문학 전공자가, 사고교육은 철학 내지 논리학 전공자가 담당하는 것이 온당하다는 생각도 실은 피상적인 단견이다. 사고교육과 언어교육은 하나로 통합돼야 한다. 오히려, 수렴적 사고에서 발산적 사고에 이르는 넓은 사고의 진폭을 고려하여, 수렴적 사고와 그에 기초한 의사소통교육을 한편에 두고 발산적 사고와 그에 기초한 의사소통교육을 다른 한편에 두는 방식으로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그렇게 하면, 오늘의 대학교육 현장에서 이들을 각각 철학적 전문성을 갖춘 분들과 어문학적 전문성을 갖춘 분들이 분담하게 되어, 의사소통교육 전반이 균형과 내실을 찾을 것이다.

The basis of communication education is the literacy educ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of education in general. The core of the literacy consists of ``thinking``.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literacy premises therefore the thinking ability as its condition. In the ``techne rhetorike``, the original classic version of communication, ``logos`` was its core. It is very likely to believe that thinking comes first whereas language serves it as a vehicle to transport its product. But we think always with/through language even in silence. Where language disappears there ceases thinking, too. Pure thinking without language is not possible. Therefore language is the necessary condition of thinking as well as thinking that of language. Considering this fact, education of thinking and that of language cannot be separated. It is fault to take the education of thinking apart from that of communication, as often happens in college education in Korea. It is also superficial narrow view to distribute the former to the philosophers and the latter to the language teachers. Both must be integrated in one. All the more reasonable is to discern the convergent thinking from the divergent thinking and differentiate the areas of education respectively based on each of them. So settled, the philosophers and the language teachers can easily contribute to the communication education substantively.

Ⅰ. 의사소통교육의 연원
Ⅱ. 사고활동과 언어활동의 상호관계
Ⅲ. 사고교육과 언어교육의 통합
Ⅳ. 의사소통교육에 관한 디지털 기술의 파장
Ⅴ. 의사소통교육과 전공교육의 연계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