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225.173
3.15.225.173
close menu
KCI 등재
설득 화법 집중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인식과 태도 변화 연구
A Case Study on Changes of Learners` Perception and Attitude through Intensive Persuasive Speaking Education
최영인 ( Young In Choi )
화법연구 24권 271-310(40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280190

국어과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전제는 학습자들의 설득 담화 표현과 이해 교육을 통해 설득 담화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 설득 담화를 소통하는 데 필요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과연 ‘교육과정이 의도한 결과’만이 학습자에게 남는 것인가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들이 여러 학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설득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을 받는 현재의 국어교육 체제에서 설득 담화의 누적적 교육이 학습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며, 어떻게 의미화되는가에 대해 좀더 면밀히 살피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 방법으로 사례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자는 고1 학생을 대상으로 소규모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습자들의 설득 담화 구성 과정 및 결과를 관찰하고, 그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담화 자료 및 인터뷰 자료를 다각도로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서울 소재 남자 고등학교에서 2012년 여름, 15일 동안 하루 50분씩 이루어지는 방과후 수업을 운영하였고, 전체 수업의 주제는 ‘설득과 담화’였다. 3주 동안 지속적이고 누적적으로 이루어진 설득 화법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남긴 변화를 화자 측면의 변화와 청자(청중) 측면의 변화로 나누어 살폈다. 전자의 경우 ‘화자의 자기 발견과 이해의 경험’과 ‘설득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후자의 경우 ‘태도 변화에 대한 청주로서의 저항인식’, ‘상호 토의 참여자로서의 적극적 듣기의 가치 경험’ 등이었다. 설득 화법 집중 교육을 통해 나타난 학습자들의 변화를 ‘학습자의 자기 이해 및 자기 발견의 가능성’과 ‘설득 담화를 매개로 한 토의의 긍정적 기능 경험’으로 종합해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설득 담화를 교육할 때 고려할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한 주제 영역을 선정하여 그 세부 영역에 대한 논제를 다루어보도록 하고, 여러 논제들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비교해 보며 그 기저에 있는 가치기반을 분석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화자의 설득 화법 수행이 단순한 연행에 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득 담화 소통의 장에서 청중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상호 토의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이다.

The basic premi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speech education) is, through persuasive discourse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education, to develop an ability to be able to produce persuasive discourse and a desirable attitude necessary for communicating persuasive discourse. But does only the result an education course intended remain to learners? In pres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 where learners are repetitively educated over several grades about persuasive communication, how cumulative education of persuasive discourse affects the learners and how it is signified will be examined more closely. In order to observe any change from learners who experienced the production and understanding of persuasive discourse appears as a result of the corresponding class, this paper chose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t is an appropriate study method when we want to pla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a phenomenon. Having run a small scale class aimed at grade 10 students, the researcher observed the process of persuasive discourse configuration of learners and its result, and collected discourse data of the learners and their interview data from various angles during the process. The research ran an after-school class consisting of 50 minutes a day for 15 days, summer of 2012 at a boy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the subject of overall classes was Persuasion and Discourse. The researcher examined changes the persuasive discourse class intensively and cumulatively run for 3 weeks remained to the learners, from an aspect of speaker side changes and the other aspect of listener (audience) side changes. In the former case, there were self-understanding as a main body of expression and changes of recognition to persuasion, in the latter case, self-resistance to others’ Persuasion, Recognition on value awareness of active audience participation, etc., respectively.

1. 서론
2. 설득 의사소통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연구 방법 및 자료 수집
4. 설득 화법 집중 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변화
5. 결론 및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