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43.4
18.119.143.4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어 색채형용사에 나타난 파생어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rivational Root Analysis in Korean Color Adjectives
홍석준 ( Seok Jun Hong )
인문논총 71권 3호 159-197(39pages)
UCI I410-ECN-0102-2015-000-000254903

이 글의 목적은 이전 연구들에서 한국어 색채형용사를 분석하여 제시한 어근파생 접미사들을 검토하고 그중 접사가 아니라 어근으로 판정해야 하는 것들이 많이 있음을 밝히는 데에 있다. 한국어 색채형용사에서는 ‘거뭇하다, 거무스름하다’처럼 파생어근에 형용사파생 접미사‘-하다’가 결합한 어형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색채형용사의 파생어근을 형성하는 어근파생 접미사들을 검토하기 위해 우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들에서 어근파생 접미사로 제시한 목록을 종합했으며, 이들 어근파생 접미사를 분석하기 위해 파생어근을 설정하고 어근파생 접미사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했다. 이 글에서 제시한어근파생 접미사의 기준은 (가) 어근형성요소이어야 한다, (나) 어휘형 태소가 아니라 문법형태소이다, (다) 독자적인 의미를 가지고 복합어근의 앞요소의 의미를 제약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기준에 따라서 기존 연구들에서 어근파생 접미사로 분석한 것들 중 ‘-(으)데데, -(으)댕댕, - (으)잡잡, -(으)숙숙, -(으)족족, -(으)축축, -(으)충충, -(으)테테, -(으)튀튀, -(으)퉁퉁, -측측, -(으)칙칙’ 등의 1음절 반복형 어근파생 접미사들은 대부분 어근으로 분석됨을 밝혔다. 가장 중요한 근거는 이러한 예들에서 ‘데데하다, 충충하다, 튀튀하다’ 등과 같이 1음절 반복형 어근파생 접미사들이 그 형태와 의미가 동일한 어근으로서 형용사파생 접미사 ‘-하다’와 결합하여 형성된 단어가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이들이 문법형태소라기보다는 어휘형태소라는 근거가 된다. 또한 ‘-숭, -실, -작, -(어)무트름, -끔, -끗, -뜩, -끄레, -끄무레, -(으)끄름’ 등 결합하는 어기가 2개이하인 어근파생 접미사들을 검토한 결과 그 의미가 문법적이라기보다는 여전히 충분히 어휘적이라고 판단되어 접사라기보다는 어근에 가깝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oot derivational suffixes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thus in previous analyses of Korean color adjective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roots or root derivational suffixes. Word forms that combine a derivational root with the adjective- derivational suffix ‘-hada’ (for example, geomus-hada, geomuseuleum- hada), account for most of the Korean color adjectives. The investigation of these root derivational suffixes began by compiling a list of root derivational suffix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of the root derivational suffix, along with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roots and root derivational suffixes, was then established. The latter consists of the following: 1) the root derivational suffix must be a root formational element, 2) the root derivational suffix is not a lexical morpheme but a grammatical morpheme, 3) the root derivational suffix must have its original meaning and constrain the meaning of the front element of complex root. As a result, it is proposed that most of the previously identified one-syllable-repeating root derivational suffixes, such as -(eu)dede, -(eu)daengdaeng, -(eu)jabjab, -(eu)sugsug, -(eu)jogjog, -(eu)chugchug, -(eu)chungchung, -(eu)tete, -(eu)twitwi, -(eu)tungtung, -cheugcheug, -(eu)chigchig, are in fact roots and not root derivational suffixes. The most important basis for this is the fact that roots having the same form and meaning as that of the one-syllable-repeating root derivational suffixes also exist in words such as dede-hada, chungchung-hada, twitwi-hada and the like. Root derivational suffixes such as -sung, -sil, -jag, -(eo)muteuleum, -ggeum, -ggeus, -ddeug, -ggeule, -ggeumule, -(eu)ggeuleum which were combined with less than two stems were also examined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y too were closer to roots than root derivational suffixes, as they had enough lexical mean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