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3.255
18.191.13.255
close menu
KCI 등재
토의 주제 유형에 따른 상호주관성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Intersubjectivity Based on the Discussion Topic Types
박소령 ( So Ryeong Park )
화법연구 25권 133-158(26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252387

본 연구는 토의에 나타난 상호주관성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피고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 국어 교육 현장에서 소집단 토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로 의미 있는 의견 공유의 장으로서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에서 출발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토의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의 바탕이 되는 상호주관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2장에서는 소집단 토의의 개념과 특성, 토의의 문제점을 해결할 단초가 될 수 있는 주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상호주관성의 개념과 소집단 토의와의 관계에 대하여 이론적 탐구를 하였다. 소집단 토의를 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이 지속되려면 서로 의미를 창출해 나가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공통요소인 상호주관성이 있어야 한다. 상호주관성이란 각자 다른 주관을 가진 사람들이 공통의 확신에 근거한 합리성을 얻을 수 있는 의사소통을 통해 주관성이 극복되고 조정을 할 수있으며, 공감을 기반으로 한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기제로 정의할 수있다. 먼저 초등학교 소집단 토의에 나타난 상호주관성의 양상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접근 방식으로 토의 주제를 유형화하여 분류 하였다. 위 분석 결과에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의 문제를 주제로 다룬 토의에서는 다양한 상호주관성 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가치의 문제를 주제로 다룬 토의에서는 진정성 있는 참여가 이루어졌다. 셋째, 행동의 문제를 주제로 다룬 토의에서는 기존 토의의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상호주관성은 소집단 토의에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특성으로, 대화 참여자인 학생과 지도교사는 이를 분명하게 인지하고 파악할 필요가 있다. 교육현장에서 실효성 있는 토의 지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상호주관성의 양상이 더 구체적으로 밝혀지고 연구되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interpret the aspects of the intersubjectivity appeared in discussion of the elementary school. It goes with problems that the small group discussion have not been functioned to exchange opinions, although the small group discussion has been done between students in the field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ntersubjectivity based on social interaction. In the chapter Ⅱ, it explored a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the intersubjectivity and the small group discussion, and also examined closely the nature, definition of the small group discussion and topics. To keep social intersection, it is necessary for the process of creating the meaning between participants. For that the intersubjectivity should be existed as common components. The intersubjectivity is a mechanism to enable the inference based on the sympathy, and helps participants who has different subjectivity coordinate and overcome the subjectivity through communication based on common assurance. First of all, the topic types are categorized in the detailed way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intersubjectivity appeared in the elementary small group discussi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relation to the analysis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A diverse aspects of intersubjectivity are more remarkable in the discussion dealing with the topic about ‘Problems of Perception’. Second, The genuine participation of discussion was happened in the topic about ‘Problems of Value’. Third, The existing problems of discussion came out in the topic about ‘Problems of Behavior’. As the intersubjectivity is the important elements which participants can be possible communications smoothly in the small group discussion, participants and teachers should certainly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intersubjectiv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llowing studies should be succeeded to find more concrete aspects about the intersubjectivity for the effective instructio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