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77.223
18.226.177.223
close menu
KCI 등재
초,중,고 학생의 정책 토론 입론 양상 분석-피해와 내재성 쟁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Elementary/Middle/High School Students` Arguments for Policy Debates -With Emphasis on the Issue of Harm and Inherency-
박재현 ( Jae Hyun Park )
화법연구 25권 159-187(29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252392

이 연구는 토론 교육 내용 마련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중·고 학습자의 실제 토론 양상을 피해와 내재성 쟁점으로 분석하였다. 필수 쟁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피해 쟁점에 대해서는 피해의 양적 심각성, 피해의 질적 심각성이라는 요건을 설정하고 내재성쟁점에 대해서는 문제의 구조적 내재성, 문제의 태도적 내재성이라는 요건을 설정하여 표본에 대한 분석 틀로 사용하였다. 분석한 표본은 초등학교 5개, 중학교 10개, 고등학교 5개이었다. 토론 영상의 담화를 전사하여 분석하여 기준 충족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국 규모 토론 대회 결승전에 참여한 고등학생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건을 충실하게 충족하였다. 특히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경우 피해의 질적 심각성이나 문제의 태도적 내재성 등 문제 상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에서 분석한 토론 영상은 교실 토론부터 토론 대회까지 참여 형태가 다양하고 학습자의 수준이 균질하지 않아 학교급별 토론 현상을 일반화하는 데는 제약이 있다. 하지만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마련한 분석 기준과 그에 따라 질적으로 분석한 학습자의 토론 양상은 수준별 토론 교육의 내용을 충실하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middle/high school learners` actual debates in terms of harm and inherency to contribute to debate trai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tock issues, the quantitative significance of harm and the qualitative significance of harm were set as the conditions of harm issues, while the structural inherency of issues and the attitudinal inherency of issues were set as the conditions of inherency issues for the analysis of samples. The samples of the analysis were 5 elementary schools, 10 middle schools, and 5 high schools. The discourses from the videos of debates were transcrib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standard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high school students satisfied the conditions more tha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cas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y lacked in-depth analysis of problems, such as the qualitative significance of harms or the attitudinal inherency of issues. The videos analyzed in this study contained various forms of debates from the class debates to the debate competitions and the level of learners was not equal. Therefore, they have limitations when generalizing the debates in each level of school. Nevertheless, the standards of analys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qualitatively analyzed debates of learner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debate training for students in each level.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