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13.209
3.149.213.209
close menu
KCI 등재
교사 양성대학 학생의 교수화법 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 과제
Tasks to Improve Teacher`s Conversation Competence in the Classroom Interaction
이창덕 ( Chang Deok Lee )
화법연구 25권 189-213(25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252403

이 글에서는 교사 양성기관 학생들의 교수화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교수화법의 개념을 정리하고, 교수화법의 하위 능력 범주를 설정한 후 교사 양성대학 학생과 교사들의 교수화법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논의했다. 교사가 교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말하게 되는 전반적인 화법을 넓은 의미의 교사화법으로 규정하고, 그 하위범주로 교사 사회화법, 교사 학교화법, 교사 교실화법으로 나누었다. 그 가운데 수업화법이 교사 양성기관 학생들이 길러야 할 핵심 화법임을 강조하고, 수업화법 능력 요소를 점검한후, 해결할 과제로 교사 수업 화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강화, 교사수업 화법 자료의 체계적 수집과 분석, 교사 양성과 연수 과정에서 교수화법 과목 개설과 함께 교수화법에 관한 이론과 실기 교육을 위한 체계적 지원 체계 확립을 주장했다. 교사 교육에서 교사들의 수업화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교사 양성 과정의 핵심 과제이고 또한 효과적으로 목표 달성이 가능한 과제이다. 교실 현장의 수업대화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들에 대한 연수와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현재 교실 수업의 많은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업대화 분석을 통한 수업 평가와 분석은 그 신뢰도가 높고, 관찰과 분석의 층위에 따라 교사 수업 화법 능력을 미시적으로, 거시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가지고 교사들의 수업 화법의 문제를 점검하고 개선하게 하는 교육을 할 수 있다. 효과적인 교사화법 교육을 위해서는 각 교대와 사범대학, 교육대학원, 교육연수원에 교사 수업화법 과목을 개설하고, 교육 내용과 방법, 교육 목적과 학습자 특성 등에 맞춘 맞춤형 교수화법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교실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업 대화를 분석한 결과를 체계적 교육 요소로 나누어 교실 수업 운영자로서 교사의 교실 상호작용을 다루는 교육이 이루어지면 현재보다 더 나은 교사 수업 운영 능력이 길러질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우리 사회의 교육 환경이 달라지고, 교육에 대한 인식과 패러다임이 학습자 중심, 탐구 중심, 협동 학습 등으로 달라지면서 수업대화 연구 또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고 또 그렇게 될 것이다. 수십년 동안 교실 대화를 연구한 선진국에서조차 교실 대화 분석은 이제 표면을 긁는 정도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앞으로 연구할 부분이 많고, 교실의 대화적 상호작용은 복잡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한국의 각 급학교의 교실 대화도 이제 본격적 자료 수집과 분석, 연구와 교육이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고 본다.

Recently research on the teachers` roles in classroom interaction has steadily increased particularly in the area of oral competency while teaching and managing the class. Much of the research stresses the importance of classroom interaction analysis and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cept of oral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teachers and I systemize the competencies into three categories; epistemological, linguistic, and in social communicative ability. I emphasis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room oral interactions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ies in classroom management and teaching. For the most part of efficiency during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depends on the teacher`s mind to their students and on the teacher`s ability for their subject. Teachers` attitudes towards students and the language they use to communicate with them is critical to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I suggest that educational community needs to take steps to improv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y in the classroom. First, a strong awareness of the need for more extensive research in this critical area should be encouraged. Secondly, a systematic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relevant to classroom convers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hirdly, effective and reliable programs focusing on effective teacher communication should be offered in all colleges and institutions offer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Finally, a collaborative committee comprised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uthorities should be establish to review, research, and implement appropriate strategies for effective teacher communicative competency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cent interest in teacher communicative ability in the classroom, a great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very utterance and sequence in classroom interactions is beginning to be analyzed relevant to the learner centered approach. I expect that there will be a growing abundance of literature in this area in the very near future.

1. 머리말
2. 교수화법의 개념과 교수화법 능력 범주
3. 교사 양성대학 학생의 교수화법 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과제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