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112.1
13.58.112.1
close menu
KCI 등재
핵억양에 나타나는 화자의 태도에 대한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Advanced Korean Learners on Speakers` Attitudes Apparent Through Nuclear Tones
황선영 ( Sun Young Hwang )
화법연구 25권 251-272(22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252423

핵억양은 서법을 나타내 주는 문법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화자의 태도나 감정을 전달해 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에 따라 억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한국어 학습자들도 이러한 억양의 패턴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가 한국인 모어 화자와 비교하여 핵억양에 나타나는 화자의 태도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t 검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는 화자의 태도를 한국인과 다르게 해석하는 것으로 나타나 화자의 태도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습자가 화자의 ‘짜증난/귀찮은’ 태도를 ‘다정한/친절한’ 것으로 해석하거나 ‘다정한/친절한’ 태도를 ‘사무적이거나 냉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해석은 의사소통 시 어휘나 문법의 오류보다 더 큰 문제를 일으키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도 억양에 따른 화자의 태도를 교육 항목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명령문에서의 다정한 태도와 청유문에서의 짜증난 태도와 같이 서법의 기능과 태도가 다르게 나타난 경우 한국인과의 해석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반대로 의문문이 놀람의 태도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학습자들이 화자가 놀랐음을 쉽게 찾아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화자의 태도를 해석할 때 종결어미나 서법과 같은 문법적인 요소에 좀더 의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uclear tone not only serves as a grammatical function of showing the mood, but also shows the attitudes or emotions of the speaker. Therefore, the ton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and Korean learners should also be able to properly understand and utilize the pattern of such tones. This study uses t-statistics to compare advanced Korean learner`s ability with native speaker`s ability to understand a speaker`s attitude conveyed in nuclear tones.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interpret speakers` attitudes differently from native Korean speakers, thus having difficulties identifying the speaker`s correct attitude. In particular, learners tended to interpret an “annoyed” attitude as “friendly”, or a “friendly” attitude as “coldly.” Such incorrect interpretations may result in greater problems compared to vocabulary or grammatical errors in communication. For that reason, Korean education curriculum should include speakers` attitudes conveyed in tones among their items. Moreover, interpretation of the attitude that opposes the function of the mood, such as a “friendly” attitude in an imperative sentence or an “annoyed” attitude in a hortatory sentence, was mo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ative Korean speakers. On the other hand, many learners were able to spot the “surprise” conveyed in an interrogation. It follows that Korean learners tend to rely more on grammatical elements such as the final ending or the mood when interpreting attitudes of speakers.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