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31.73
3.19.31.73
close menu
KCI 등재
"위험사회" 에서의 교육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성찰
Uber die Rolle und Verantwortung der Erziehung in der Risikogesellschaft
정창호 ( Chang Ho Jeong )
UCI I410-ECN-0102-2015-300-00022971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글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발생했던 후쿠시마 원전폭발 사고를 계기로 현대 사회에서 교육이 맡아야 할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후쿠시마 사태와 교육의 문제를 좀더 풍부한 일반교육학적 맥락에서 연관시키기 위해 먼저 제2장에서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론’의 기본 착상을 소개하였다. 벡에 따르면 현대 사회는 전통의 근대화와는 다른 새로운 근대화의 단계로 진입했는데,이는 전자가 스스로 산출한 파국적 위험들이 오늘날 분명하게 드러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파국적인 위난과 위험을 완전히 통제, 제거할 수 있다는 헛된 환상에서 벗어나서 상시적인 위험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성찰적 근대화’가 요구된다. 제3장에서는 전통의 근대화의 두 축이었던 과학과 정치에서의 성찰성(reflexity)을 검토함으로써 위험사회를 교육의 문제와연관시킬 수 있는 매개 고리를 마련하였다. 벡에 따르면 근대 사회의 필연적 발전 과정에서 사실적으로 발생한 ‘잠재적 성찰성’은 근대화의 자기모순을 성찰할 수 있는 자율적인 주체의 형성을 통해서만 실현가능하다. 벡은 이러한 작업을 ‘제2의 계몽’이라고 부른다. 제4장은 현대 교육의 역할과 책임이 바로 이 제2의 계몽을 실현하는 데에 있다고 보고, 이에 적합한 교육을 성찰적 주체의 형성, 성찰적 주체 형성을 위한 교육실천, 성찰적 교육학의 필요성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5장은 후쿠시마 사태와 같은 대의 재난은 또 하나의 특수교육학 즉 위험교육학을 요구하기 이전에 먼저 교육 본연의 과제에 대한 더욱철저한 반성을 요구한다는 결론으로 끝맺는다.

Diese Schrift setzt sich mit der Frage auseinander, welche Rolle und Verantwortung die gegewartige Erziehung ubernehmen sollte, in Hinsicht der Kernkraftwerk-Katasrophe in Hukusima, Japan 2011. Im Kapitel 2 wird Becks Theorie der Risikogesellschaft vorgestellt. Nach seiner Analyse tritt der Modernisierungsprozess seit 19. Jh. in eine neue Phase ein, die durch alltagliches aber katasrophales Risiko im normalen Leben charakterisiert werden kann. Wir sind dadurch mit einer neuen Anfordrung gegenuberstellt worden, zu lernen, wie wir mit dem alltaglichen Risiko zusammenleben konnen. Im Kapitel 3 wird der Begriff Reflexive Modernisierung dargestellt. Diese Dastellung bietet einen guten Ansatzpunkt fur eine reiche Verbindung zwischen Risikogesellschaft und Erziehung. Die Reflexive Modernisierung als eine potentielle Moglichkeit ist nur durch Bildung oder Erziehung der reflexiven und autonomen Subjekt realisierbar. Beck nennt diesen Prozess die zweite Aufklarung. Das Kapitel 4 geht davon aus, dass die Rolle und Verantwortungen der Erziehung in der Realisierung zweiter Aufklarung liegen. Was bedeutet diese fur die Erziehung und Erziehungswissenschaft? Ich habe versucht, diese Frage in drei Punkten zu beantworten: Bildung der reflexiven Subjekten, Notwendigkeit der reflexiven Erziehungswissenschaft, einige padagogische Richtungen in Risikogesellschaft. Die Konklusion dieser Schrift liegt darin, dass die gegenwartige Risikogesellschaft eine tiefe Reflexion in die eigentliche Aufgabe

I. 들어가는 말
II. 위험사회(Risikogesellschaft)
III. 성찰적 근대화의 두 측면
IV. 위험사회에서의 교육: 몇 가지 교육학적 시사점들
V.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