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39.32
18.224.39.32
close menu
KCI 등재
독일의 학교민주주의와 시민교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chool Democrac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Germany
이상오 ( Sang O Lee )
UCI I410-ECN-0102-2015-300-00022972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독일의 학교민주주의는 크게 내용적-실질적 차원과 형식적-제도적 차원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학생들의 상급학교 진학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민주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이 대표적이다. 즉 학생의 진로결정은 학교 법상 당사자들인 학생, 학부모(또는 후견인), 담임교사 그리고 교장의 합의에 의해서 결정된다. 물론 독일의 학교민주주의는 놀이에 참여함으로써 태어나서 처음으로 공동체생활을 익히는 유치원시절부터 참여민주주의 습관을 쌓게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또한 기초학교(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는 아이들은 자신이 졸업한 유치원과 학교 사이에 만들어 놓은 ‘교육로’를 오가면서 담당교사와 많은 대화를 하면서 시작하기도 한다. 이러한 교육전통이 훗날 대화와 토론을 일상화하고 있는 독일교실문화의 기초 토대가 된다. 반면, 후자 즉 형식적-제도적 차원의 학교민주주의는 독일인들의 오랜 소망이었던 통일학교의 구상에서 비롯된다. 1969년 종합학교의 탄생은 통일학교구상의 현실적 절충이며 타협이지만, 특히 귀족과 천민간의 신분계급의 차별 없이 모두에게 교육의 기회를 평등하게 제공한다는 민주주의이념의 실현이다. 한편, 독일의 시민교육은 학교교육에서부터 성인교육까지 정치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오래 전부터 실천되어 왔다. 이는 우리가 ‘교육은 정치적으로부터 중립’이라는 말을 빌미로 교묘하게‘정치적 방치’를 조장하고 있는 우리의 경우와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대목이다.

School democracy in Germany is divided in the real-practical dimension and the formal-institutional Dimension largely. The former (the real-practical dimension) is recognized in that there are always democratic processes in decision-making for the student``s school careers. The raw of education in Germany states that the career decision of a student should coincide in opinion of student, teacher, parents and school master. Of course, school democracy in Germany begins from the time of Kindergarten that gives to young children the chance to learn the community life by participating in the play naturally. Here, they get in to a habit of participating democracy for the first time of their lives. In addition, children who go on to elementary school have a talk with teacher in keeping going and coming to the ``educational road`` which is constructed between their elementary school and the Kindergarten that they visited in the past. Such an educational tradition makes the foundation of German school culture represented by dialog and discussion later.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the formal-institutional dimension) is completed form the ideal plan that the German had wished for a long time. Although the comprehensive school (1969) was a realistic and alternative compromise for the unified school system, it means a realization of the democratic ideal which should give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all without class distinction between the nobility and the humble people. Meanwhile, citizen education in Germany has been realized under the name of ``political education`` from school education to adult education for a long time. However, we are approving ``the political leave`` under the plea of obeying the principle that education should keep ``the political neutral``. At least, school must give to the children the opportunities to learn how to hold a discussion and to join the debate.

I. 들어가는 말
II. 독일의 학교민주주의
III. 독일의 시민교육
IV. 나가는 말: 우리 교육에의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