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3.173
18.221.13.173
close menu
KCI 등재
한국과 독일 예비교사들의 교직에 관한 신념
Korean and German Pre-Service Teachers’ Beliefs 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김혜온 ( Hy Eon Kim ) , 김수정 ( Su Jeong Kim )
UCI I410-ECN-0102-2015-300-00022975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예비교사들의 교직준비활동 및 교사양성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교육효과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예비교사들의 교직에 관한 신념이 서로 다른 문화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의 목포, 순천, 독일의 Leipzig, Bochum의 4년제 대학에서 교직을 이수하는 512(한국: 203, 독일: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생들의 응답을 내용분석과 더불어 빈도와 평균을 분석하고 집단비교를 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과 독일학생들이 교직과 관련하여 교사로서의 정체감, 교수법과 관련된 사회적 능력을 지닌 교사를 좋은 교사로, 지식전달이나 교과목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키는것이 교사의 역할이라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양성교육과정에 대해 비슷한 정도의 만족도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학생들은 이상적인 교사상과 역할에 대해 전통적이고 규범적인 관점의 신념이 더 강한 반면 독일학생들은 교사의 인성의 측면과 개인의 독립성과 실용적 교육에 대한 기여에 관심을 표명하여 서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의 학생들이 교사양성교육과정의 구조적 문제와 현장과의 연관성이 낮은 것에 대해서 더 높은 불만을 제기하고 있었다. 교사의 역량에 대해서는 두 집단모두 보통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학교행정이나 교과과정으로 인한 선택과 학생의 성적에 미치는 영향 등을 한국학생들이 더 제한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양성과정의 교육과정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beliefs 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which have influence on the decision making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a and the preparation of teaching profession. The study tries to identify the cultural specificities of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 system. For the purpose, a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with 203 Korean(from Mokpo, Suncheon) and 309 German(from Leipzig, Bochum) pre-service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which covered the students’ educational beliefs about image of the ideal teacher, teacher``s roles and influence in the classroom, and their attitudes towards teacher education curricula.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χ2-test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re are some shared beliefs and attitudes in both Korean and German teacher students as well as important differences. In general, Korean pre-service teachers`` perspective on their future occupation is more normative and traditional, and they are more skeptical of the teacher``s influence on students`` success and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ir counterparts put an emphasis on encouraging students to build their own ideas and teaching practical matters. Both Korean and German participants of the study criticize the ``theory-practice-gap`` in present curricula for teacher training.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