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45.114
18.118.145.114
close menu
KCI 등재
독일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최근 논의 동향 및 쟁점 고찰
Lehrerbildung fur Inklusion in Deutschland: Stand der Diskussion und praktische Konsequenzen
클레멘스힐렌브란트 ( Clemens Hillenbrand ) , 코니멜쩌 ( Conny Melzer ) , 성정경 ( Jung Gyung Sung )
UCI I410-ECN-0102-2015-300-00022977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는 UN-장애인권리협약 이후 교육체제의 개혁과 맞물려 쟁점이 되고 있는 독일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최근 논의 동향과 향후 과제를 고찰하였다. 독일은 한국과 같은 해인 2009년 UN-장애인권리협약(UN-Behindertenrechtskonvention)이 발효 되었으며, 독일 정부는 비준국의 의무에 따라 협약이행 영역이 제시된 국가실행계획안(Nationler Aktionsplan)을 발표하였다. 이 가운데 학교교육체제 영역은 UN-장애인권리협약의 완전통합교육 원칙에 따라 지금까지의 독일 학교체제와 달리 통합교육의 도입이 보편화 되면서 개혁의 중점에 서게 되었다. 최근 독일 교육계에서는 이러한 통합교육 정책에 따른 학제개혁과 맞물려 교사교육의 제도적 개편이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국가실행계획안의 목표 및 절차 구성과 관련하여 정부발주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13년 개최된 정부주최 국내 컨퍼런스(주제-“통합은 전문성이 요구된다”)에서 교사교사육 정책에 관한 6개의 다양한 전문가 소견(Expertise)이 발표되었는데, 공통적으로 질적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양성제도와 교사요인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첫째, UN-장애인권리협약 이후 독일의 통합교육과 교사교육제도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최근 독일에서 논의되고 있는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제도 개편의 쟁점을 전문가의 소견들을 중심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In Deutschland zog die Ratifizierung der UN-Behindertenrechtskonvention eine ausfuhrliche Diskussion nach sich, die politisch in einen Nationalen Aktionsplan mundete. Die schulische Bildung ist ein großer Handlungsbereich in diesem Aktionsplan, fur den einige Ziele und Maßnahmen formuliert sind. Eine Maßnahme stellt die Veranstaltung einer Nationalen Konferenz dar, die im Juni 2013 in Berlin veranstaltet wurde. In Vorbereitung auf diese Maßnahme wurde ein Gutachten zur Lehrerbildung fur Inklusion in Deutschland in Auftrag gegeben, dessen Grundlage insgesamt sechs Expertisen waren. Im vorliegenden Beitrag wird nicht nur der Weg von der Ratifizierung der UN-Behindertenrechtskonvention aufgezeigt, sondern auch zwei der sechs Expertisen fur den schulischen Bereich gegenubergestellt, da diese die Diskussion um inklusive Bildung in Deutschland abbilden. Abschließend werden Konsequenzen fur zukunftige Entwicklungen in diesem Bereich gezogen.

Ⅰ. Einleitung
Ⅱ. Lehrerbildung für Inklusion in Deutschland
Ⅲ. Die Umsetzung der UN-Behindertenrechtskonvention in Deutschland: der Nationale Aktionsplan (NAP)
Ⅳ. Strukturen der Debatte zur Inklusion
Ⅴ. Expertisen zur inklusiven Bildung
Ⅵ. Konsequenzen fü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