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37.64
18.117.137.64
close menu
KCI 등재
명사에 접속하는 형식명사 "도코로(ところ)"의 의미와 기능 -메이지기와 현대의 용례비교를 통하여-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okoro" with a Nou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Meiji-Era and the Present-
방윤형 ( Yoon Hyung Bahng )
UCI I410-ECN-0102-2015-800-000224872

본 논문은 명사에 접속하는 "도코로(ところ)"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분석, 고찰 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종래의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메이지기와 현대를 비교하면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명사에 접속하는 "도코로(ところ)"는 크게 다음과 같이 4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①장소를 나타내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전접하는 명사가 존재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람명사, 장소명사, 모노명사의 전접명사와 정해진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Nのところ」는 문중에서 보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ところ」를 지배한다. ②부분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가 존재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신체부분을 나타내는 전접명사와 다양한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Nのところ」는 문중에서 보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ところ」를 지배한다. ③시간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가 가리키는 시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접명사에는 시간명사가 사용되고 술어에는 다양한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한편 메이지기에는 전접명사에 지시사를 사용할 수 없었으나 현대에는 지시사를 사용할 수 있다. 「Nのところ」는 상황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ところ」를 지배하지 않는다. ④상황을 나타내는 경우는 전접하는 명사가 가리키는 상황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전접명사에는 동작성명사와 추상명사가 사용되고 술어는 다양한 타입의 술어가 사용된다. 메이지기보다 현대에 와서 전접명사의 종류가 증가했다. 「Nのところ」는 상황어적인 역할을 하고 술어는 「Nのところ」를 지배하지 않는다. 이상의 ①~④를 종합하면 명사에 접속하는 형식명사 「ところ」는 메이지기에서 현대에 이름에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메이지기까지의 변화의 결과를 보존하면서도 점진적인 변화가 계속되어 왔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okoro" connected with a noun. In the paper, the usages of "tokoro" a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two periods between Meiji-era and the present. Regarding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okoro" connected with a noun, the four cases in the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① The first case of "tokoro" represents the place where a front noun exists. In this case, "N+tokoro"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hogo in the sentence, and the predicate controls the "N+tokoro". ② The second case of "tokoro" represents the part in which a front noun exists. "N+tokoro" has a function of a hogo in the sentence, and the predicate controls the "N+tokoro". ③ The third case represents the time which a front noun indicates. In Meiji-era, a demonstrative pronoun was not allowed to use in the front noun, while in the present it is widely used in the front noun. "N+tokoro" functions as a jyokyogo in the sentence, and the predicate doesn``t control the "N+tokoro". ④ The last case represents the situation which a front noun indicates. The types of the front noun much more increased in the present than in Meiji-era. "N+tokoro" does function as a jyokyogo in the sentence, and the predicate excludes the "N+tokoro". Summarizing the above four cases, we can conclude that the pseudo noun "tokoro" connected to a noun preserves the historical changes up to Meiji-era, but also gets gradual changes from Meiji-era to the present.

1. はじめに
2. 先行硏究と考察方法
3. 明治期の場合
4. 現代の場合
5. まとめと今後の課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