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19.148
18.222.119.148
close menu
KCI 등재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1912)"의 성격과 특징
Characteristics and Features of Uenmun Cheoljabuob For Elementry School in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김주필 ( Joo Phil Kim )
반교어문연구 37권 37-70(34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226992

1912년 4월 17일 총독부에서 제정한 언문철자법은 대부분 표음적 표기를 하도록 하고 일본어 50음, 탁음, 장음 등을 표기하는 한글 음절표를 규정하였다. 총독부에서는 일본어 교재인 《速修國語讀本》(1915)에서 일본어 문장의 한자음을 후리가나로 표시하여 이 철자법의 한글 음절표를 활용하도록 하였으며 일본어의 한글 대역문에 이 철자법을 철저하게 적용하였다. 1910년대에 총독부에서 간행한 책들 중 《速修國語讀本》만큼 철저하게 이 철자법을 적용한 예는 없었다. 이로 보아 총독부에서 이 철자법을 서둘러 제정한 이유는 한국인에게 일본어를 가르치는 일본어 교재에 한글 음절표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이와 함께 언문의 철자법도 최소의 범위에서 정비하여 한국어 교재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Chosun Chongdokbu(Japanese colonial government) established Uenmun Cheo ljabuob(Hanguel Orthography) on April 17, 1912. Characteristics of the orthography followed phonetic representation, and set up Hanguel Tables for Japanese basic syllables, Japanese voiced sounds, Japanese long sounds in accordance with custom. The orthography first applied Soksugukeodokbon 《速修國語讀本》(1915), the Japanese textbook, published by Chosun chongdokbu. Hanguel Table For Japanese was used for corresponding Japanese syllable by Furigana, Japanese reading aid for kanji according to the orthography, and the orthography was applied rigorously to Japanese-Korean translation. It was one of the editions which had thoroughly applied the orthography among the books were published by Chosun chongdokbu since then. In this respect, it is assumed that the hurried establishment of the orthography was to apply to the Japanese textbook and to teach Japanese to Korea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Uenmun Cheoljabuob for the Korean textbook was a secondary purpose.

Ⅰ. 논의의 방향
Ⅱ.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의 제정 과정
Ⅲ.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의 내용
Ⅳ.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의 적용 상태
Ⅴ. 마무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