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67.251
18.222.67.251
close menu
KCI 등재
『사리영응기』 소재 세종의 "친제신성(親制新聲)" 연구
A Study on King Sejong`s Chinjesinseong on the Theme of Sariyeongeunggi
김기종 ( Ki Jong Kim )
반교어문연구 37권 173-199(27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227035

『사리영응기』는 세종 31년(1449)에 간행된 것으로, 내불당(內佛堂) 조성의 과정과 사리(舍利) 분신(分身)의 이적을 기록하고 있다. 이 책에 수록된 ‘親制新聲’은 세종이 지은 7곡의 악곡과 9편의 악장을 가리킨다. 세종의 ‘친제신성’은, 단순한 노래가 아닌 가(歌).무(舞).악(樂)으로 구성된 정재(呈才)이다. 이 정재는 연꽃·작약꽃.모란꽃을 든 무동의 춤과, 다수의 아악기 및 동발이 포함되어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점들은 ‘친제신성’이 제 례악에 준하는 성격을 갖고 있으며, 불교의례와 일정정도 관련이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그리고 ‘친제신성’의 악장 9편은 그 내용 및 시상 전개에 있어 하나의 작품으로 볼 수 있다. 곧 <귀삼보>는 서사, <찬법신>~<찬팔부>는 본사, <희명자>는 결사에 해당하고, 이들 악장은 ‘예찬 대상의 제시→ 중생에게 이익을 주는 삼보의 뛰어난 공덕 예찬→ 열성(列聖)의 성불(成佛) 희구’라는 내용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친제신성’ 전체의 주제의식은 ‘삼보의 공덕 제시’와 이를 통한 ‘성불의 희구’가 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친제신성’은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고 작자가 같은 <월인천강지곡>과 비교된다. <월인천강지곡>이 백성의 교화와 당시 불교계의 ‘순화’를 목적으로 지어진 것이라면, ‘친제신성’은 세종 자신과 왕실 가족 내심의 위안을 위해 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친제신성’의 주제의식이 ‘열성의 성불’이고, 중생제도 내지 교화라는 불·보살의 공덕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친제신성’ 역시 세종의 ‘불교 순화’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성불과 중생제도의 강조는 천당·지옥의 화복설(禍福說)과 이로 인한 기복신앙의 유행에 대한 경계 내지 교정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사리영응기』 소재 세종의 ‘친제신성’은 세종 개인과 왕실 내심의 위안을 위해 제작된 것으로, 이 작품에서 강조하고 있는 ‘중생교화’와 ‘성불’은 당시불교계에 대한 세종의 순화 내지 교정의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Sariyeongeunggi, a book published in the 31st year of King Sejong (1449), recorded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shrines and the miracles of sari incarnation. Chinjesinseong Included in this book refers to 7 pieces of music and 9 movements composed by Sejong. Sejong`s Chinjesinseong can be regarded as a single work in its contents and development of poetic image. That is, corresponds to the introduc tion, - to the body, and to the con clusion, and these movements have the structure of contents running from ‘the presentation of objects to be praised,’ to ‘praising the outstanding merits of the three treasures benefiting the people’ and to ‘successive kings’ yearning for attain ing Buddhahood.’ Therefore, the general themes of Chinjesinseong are ‘presentati on of the unchang ingly victorious merits of the three treasures’ and ‘yearning for attaining Buddha hood’ through the merits. Chinjesinseong is comparable to Wolincheongangjigok, which was written at a similar time and by the same author. While Wolincheongangjigok was composed for the enlightenment of people and the domestication of the Buddhist circle, Chinjesinseong was published for comforting the inner heart of Sejong himself and the royal family. Nevertheless, Chinjesinseong does not depart from Sejong`s domestication of Buddhism in that its theme is successive kings` attain ment of Buddhahood and its emphasis is on Buddha`s and Bodhisattvas` merits, namely, the liberation and enlightenment of people. It is because emphasis on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and liberation of people can be regarded as a precau tion against or correction of the fortune-misfortune dualism of heaven and hell and resultant spread of fortune-seeking belief. In conclusion, Sejong`s Chinjesinseong on the theme of Sariyeongeunggi was composed for comforting the inner heart of King Sejong himself and the royal family, and ‘enlightenment of people’ and ‘attaining Buddhahood’ emphasized in this work reveals Sejong`s intention to domesticate or correct the Buddhist circle in those days.

1. 문제 제기
2. 『사리영응기』와 ‘新聲’ 7곡
3. 악장의 구조와 주제의식
4. ‘親制新聲’의 성격과 의의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