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07.124
18.223.107.124
close menu
KCI 등재
해방 후 전통적 지식인의 탈식민 민족(民族)(시문학(詩文學))사(史)의 기획-조지훈의 반공/보수/민족주의와 한국현대시문학사 서술
A Traditional Intellectual``s Project for Decolonization National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Anti-communism/conservatism/nationalism of Jo Ji-hun``s and the Description of history(Modern Korean Poetry history)
박지영 ( Ji Young Park )
반교어문연구 37권 287-323(37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0227075

본고는 보수/민족주의자인 전통적 지식인 시인 조지훈의 1960년대 (문학)史 인식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는 해방 이후 한국의 보수적 민족주의의 일면과 이 사상을 바탕으로 한 한국현대시문학사의 정신적 근원을 살펴보는 일이다. 조지훈은 전통적 지식인으로서 전통을 부정하는 좌파 사상에 생래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다른 순수시론과 달리 그는 순수시에도 사상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항쟁의 사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좌파 사상에 ‘전통’ 사상을 대응시킨다. 이 전통론은 근대 이전과의 연속성을 확보해 내는 보수/민족주의 사관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선비의 정치를 주장하는 그의 유학적 세계관은 다른 보수주의 민족주의자들과는 다르게 당대 정권에 저항적 위치에 서게 만든다. 62년부터 64년까지 집약적으로 실시된 그의 학문적 활동을 이러한 그의 신념의 결과이다. 그는 한국민족운동사와 한국현대시 문학사를 서술하면서 근대 이전과 이후의 역사적 연속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민족국가의 역사적 전통성을 확보해 내려 한다. 특히 그가 희구했던 역사는 운동사로 그는 이를 통해 식민의 치욕적 역사를 떨어내고 저항사로 탈식민의 역사를 새롭게 재편하려던 기획이었다. 그러나 그 저항사에서는 맥락없이 연결된 사건 중심의 서사가 정신주의로 연결되는데, 이렇게 탈식민의 기획이 정신사로 귀결될 수밖에 없는 것은 이 치욕의 역사를 지우고 매끈한 저항사를 만들어내는 것이 실증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역설적 증표이다. 한국현대시문학사 역시 전통의 계승이라는 문학사적 연속성의 확보를 가장 큰 목적으로 삼은 것이다. ‘개화가사’란 장르의 탄생은 바로 이러한 의도에서 기획된 산물이다. 이렇게 조지훈이 1960년대 초반부터 1964년 거의 완성해 간한국(문학/문화)사 인식론 역시 당대 저항적 민족주의 담론의 전형적인 형상이 었다. 이는 좌파 사상에 대적할 새로운 저항 의식을 만들어야 한다는 유학적 지식인이 자신의 존재성을 걸고 만들어낸 성과이자 한계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iterary historical epistemology of the conservatist, nationalist, traditional intellectual and poet Jo Ji-hun in the 1960s. This seeks to examine the conservative nationalism of post-liberation Korea, and the origin of Korea`s literary history of modern poetry based on that thought. Jo Ji-hun, a traditional intellectual, had an inherent negative attitude toward leftist thoughts which negated tradition. But unlike with other theories of genuine poetry, he insists that even genuine poems should embrace certain thoughts, and corresponds traditional thoughts to leftist thoughts recognized as thoughts of resistance. This tradition theory leads to the historical view of conservatism/nationalism which secures a link with pre-modern times. But his Confucian view of the world, which postulates politics of scholars, leaves him to resist the then regime unlike conservative nationalists. His academic activities, intensified expecially from 1962 - 1964, are the result of such belief. When he describes Korea`s history of national movements and Korea`s literary history of modern poetry, he tries to secure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pre-modern and post-modern times, and thus to ensures the nation`s historical traditionality. Notably, the history that he pursued is the history of movements, and through such pursuit, he makes a great attempt to shake off the humiliating Korean history of being colonized, and to reestablish anew the history of decolonization as a history of resistance. But that history of resistance involves the description of events, connected with one another without essential contexts, being linked with mentalism. The process of such decolonization attempt having to result in the history of mentalism proves that it is nearly empirically impossible to erase the humiliating history and to create an impeccable history of resistance. Korea`s literary history of modern poetry also sought to prove the literary historical connectivity, namely, the inheritance of tradition. The birth of the genre of history of enlightenment is the product of this very attempt. As such, the epistemology of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and culture, which from the early 1960s to 1964, Jo Ji-hun nearly completed, was typical of discourses on the then resistant nationalism. This is the result from and the limits of the Confucian intellectual making all-out efforts to create a new spirit of resistance to cope with leftist thoughts.

1. 들어가는 말- 전통적 지식인의 ‘(문학)사’ 인식
2. 조지훈의 사상적 기반-냉전, 전쟁과 한국의 보수주의
3. 탈식민 민족사의 이념과 한국현대시문학사 서술 -저항사와 정신사, 그리고 ‘개화가사’란 명명법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