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0.140.5
18.220.140.5
close menu
KCI 등재
영재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적극적 및 소극적 대처방식의 매개모형 검증
Coping strategies as a mediator between Gifted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박미화 ( M Hwa Park ) , 권혜영 ( Hye Young Kwon ) , 신효정 ( Hyo Jung Shin )
UCI I410-ECN-0102-2015-300-000229605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적극적 및 소극적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영재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33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학업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적응 척도를 실시하고 최종 288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상관 분석에서 시험스트레스와 학교교사적응, 학교친구적응,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로스트레스와 학교환경적응, 학교교사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생활적응에서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는 소극적 대처와 정적상관이 있었고 단지 수업 스트레스만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와 모두 상관이 있었으며, 대처방식에 있어서는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 모두가 학교적응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극적 대처는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극적 대처는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재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coping strategies as a mediator between gifted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Survey data from 288 gifted student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irst,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test stress of academic stress and teacher, peer, school life of school adjustment. Between career stress of academic stress and teacher, class, school life of school adjustment was negatively related. Both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increased school adjustment. Academic st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passive coping. Class stres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to active coping and passive coping. Lastly, results indicated that active cop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lso, passive cop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not only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academic stress in understanding school adjustment but also that coping strateg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se relationships. Implications for both counseling interventions and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