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43.32
3.149.243.32
close menu
KCI 등재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Gender
전호선 ( Ho Sun Jeon ) , 장승옥 ( Seung Ock Jang )
청소년학연구 21권 8호 103-129(27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229645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중독은 증가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그다지 관심을 받지 못한 현상이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와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대구경북에 위치한 5개 대학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중 537명 자료를 SPS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15%가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 사용자였으며, 남성보다 여성이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수준과 우울성향은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즉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의 중독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은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지만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우울이나 스트레스가 높은 대학생들은 조기 선별하고 건전한 활동을 하도록 지도할 방안을 모색하고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Smartphone Addiction Syndrom(SAS) among university students is a growing phenomenon that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to date. This study examines associations between stress, depression and SA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attending 5 universities in Daegue metropolitan area and Gyeongsangbuk-do. The data from 537 smartphone users was analyzed by SPSS 20. The results show as follow: First, 15% out of total respondents are risky users of smartphone addiction syndrom.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addictive users. Second, SAS are closely related to social stress and depression. The high social stress, high depression and female gender are related to the higher risk for the SAS. Third, a moderating effect of the gender i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the SAS, wherea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ender is not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pression and the SA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AS prevention such as early screening for psychological problems with stress or depression and guiding health activities are discussed.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need for research that further examine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ocial environment in preventing youth from SA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