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2.172
3.133.12.172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 용도와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가 가지는 매개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Use Purpose and Social Withdrawal among Adolescents
송인한 ( In Han Song ) , 권세원 ( Se Won Kwon ) , 김성은 ( Seong Eun Kim )
청소년학연구 21권 8호 185-211(27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219672

우리나라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실태가 심각한 현재의 상황에서 휴대전화 사용 형태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휴대전화 사용 용도를 세부적으로 나누고, 사회적 위축과의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휴대전화의 사용용도에 따른 사회적 위축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 자료 중 2011년 2차년도 데이터(N=2,021)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사용 용도가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쳤다· 가족과 사용 정도가 많을수록 휴대전화 의존도는 낮았으며, 친구와의 사용하거나 게임, 오락으로 사용하는 정도가 많을수록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휴대전화 사용 용도가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은 친구와의 사용 유형만이 유의하여, 친구와의 사용 정도가 많을수록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 사용 용도가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가족과의 사용정도가 많을수록, 친구와의 사용 정도가 적을수록, 게임이나 오락 사용정도가 적을수록 휴대전화 의존도를 낮춤으로써 사회적 위축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휴대전화 사용 용도의 세부적인 형태에 따라 청소년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음이 큰 의의이며, 이에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과 정서적 문제에 개입함에 있어서 구체적 맥락을 고려한 차별적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ow mobile phone use patterns affect sociality among adolescents because of the current serious condition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South Korea is urgently needed.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social withdrawal depending on the detailed mobile phone use purpose,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use purpose and social withdrawal.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2011 (2nd Wave) dataset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s 1st grade middle schooler data (N=2,021)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showed that, (1) mobile phone dependenc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 purpose. The more use with family members, the lower mobile phone dependency score. The more use with friends or for gaming, the higher mobile phone dependency score. (2) The more use with friends, there found less social withdrawal. (3)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use purpose and social withdrawal. (4) The more use with family members, the less use with friends, and the less use for gaming or fun, social withdrawal was reduced through lower level of mobile phone dependency. The findings show that mobile phone use differently affects social withdrawal by detailed pattern of mobile phone use. The necessity of differential approaches to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and psychosocial problems considering the specific context was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