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86.155
18.219.86.155
close menu
KCI 등재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작용하는 영향요인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한 탐색적 접근-
Antecedents for Labor Forcer Participation of Mother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Economic Crisis
차유경 ( Yoo Kyung Cha ) , 원숙연 ( Sook-Yeo Won )
UCI I410-ECN-0102-2015-300-000200742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기혼여성이 노동시장에 참여하는데 어떤 요인이, 어떻게 작용하며, 그 요인의 차이가 경제위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까? 이상의 질문에 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8년 금융위기를 전후로 2007년과 2009년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작용하는 요소를 정책과 인식, 그리고 개인 및 가구 특성 모두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07년과 2009년 한국복지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상황과 무관하게 보육비 지원정책(+), 연령(+), 교육수준(+), 미취학자녀수(-)의 영향력은 비교적 안정되게 유지되었으나, 여가생활만족도(-), 수입만족도(+)는 경제위기 이후에 더 강하게 작용하였다. 둘째, 경제위기 전에 비해 경제위기 후에 정책 특히 취업지원정책의 영향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였다. 이는 경제위기에 따른 노동시장의 위축 시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여성과 같은 소수집단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재확인 한다. 셋째, 경제위기 이후에 여성에 대한 성고정관념적 이데올로기 중 남성부양자인식(-)은 약화되는데 반해 엄마역할(-)에 대한 인식의 영향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위기에 따라 인식이 전반적으로 보수화된다는 논의에 부합한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ddresses the questions. What are the factors effecting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others? In what ways do the factors work different along with economic conditions? In order to find possible answers to the questions, the main focus is on the differential effects of factors, comparing the results of 2007 to that of 2009, which were based on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In particular, a comprehensive model including various factors such as policy for child care, gender stereotypes, personal and family factors was built. For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model was proved with Korea Welfare Panel Study(KWP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economic condition, financial support for child care(+), age(+), educational levels(+), the number of preschool children(-) had a stable impact on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mothers. On the contrary, the impact of satisfaction with leasure(-) and with income(-) became stronger in 2009 than that of 2007. Then, state policy for job placement and training worked particularly strong in 2009 when economic condition were getting worse. It confirm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state policy for social minority like women under the economic hardships Interestingly, along with economic crisis, the impact of male breadwinner ideology on labor force participation for mothers became weaker, while mothering ideology worked rather strong.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depth.

Ⅰ. 연구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작용하는 요인
Ⅲ. 실증연구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