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07.96
18.119.107.96
close menu
KCI 등재
들뢰즈의 『씨네마』에서 운동-이미지의 성립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ovement-Image in Deleuze` Cinema
이철민 ( Cheol Min Lee )
시대와 철학 25권 3호 131-157(27pages)
UCI I410-ECN-0102-2015-100-000180776

본 논문의 목적은 들뢰즈의 운동-이미지가 『씨네마』에서 어떻게 성립되는가를 설명하는 것이다. 운동-이미지는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과 초기 영화사 사이에서 배태된 개념으로, 본 논문은 운동-이미지의 의미와 위상을 먼저 규정한 뒤, 그 성립 과정을 해명한다. 우선 운동-이미지는 단순히 움직이는 이미지가 아니라 운동의 운동성(mobilite)을 표현하는 이미지이다. 운동성은 베르그손이 운동의 본성을 운동하는 동체의 형상(forme)이 아니라 지속하는 운동 자체로 사유할 때 성립하는 개념으로, 『씨네마』에서 이동카메라가 동체를 촬영할 때 화면 자체 속으로 운동이 함입하는 순간, 즉이미지와 운동이 연결부호 ‘-’를 통해 내적으로 접촉하는 순간 표현되고 몽따주를 통해 변주된다. 들뢰즈는 쁠랑(plan) 개념으로 운동-이미지를 규정하면서, 몽따주와 프레임 사이를 오르내리며, 지속하는 영화 전체와 부분적인 피사체들을 상호 전환시키는 숏(shot)의 위상을 설명한다. 쁠랑은 숏과 평면의 의미를 함께 갖는 들뢰즈의 철학용어로, 평면이 초월성을 배제한 전체적 평면, 즉 내재성의 평면(plan d’immanence)을 이루듯, 숏은 베르그손의 질적 복수성(multiplicite qualitative)과 같은 통일성, 즉 선율 한 소절이 수적으로 구분되지 않으면서도 다른 소절들과 내적으로 상호 침투하여 이루어지는 음악처럼 통일성을 형성한다. 그렇다면 운동-이미지는 지속하는 전체의 동적인(mobile) 절단으로 성립한다. 문제는 베르그손이 『창조적 진화』 4장에서 영화를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물질과 기억』 1장에 기초한 들뢰즈의 영화철학이 어떻게 성립할 수있는가, 하는 점이다. 베르그손은 부동적(immobile) 사진들, 즉 일련의 프레임을 재빨리 움직이게 하여 거짓 운동을 생산해낸다는 이유로 영화를 비판한다. 하지만 베르그손이 비판하는 영화는 아직 몽따주 관념이 없는 초창기 영화의 숏들로, 들뢰즈가 본격적인 영화의 이미지로 제시하는 운동-이미지와 본질적으로 다르다. 들뢰즈는 『물질과 기억』 1장에서 베르그손이 제시하는 이미지가 숏에 상응하는 동적인 절단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운동-이미지 개념을 성립시킨다. 『물질과 기억』 1장의 이미지는 주관과 객관이 분리되기 이전에 존재하는 이미지로, 『씨네마1』 4장에서 ‘이미지=운동=물질’공식으로 요약되는 내재성의 평면이다. 내재성의 평면은 『물질과 기억』 1장에서 사진, 즉 부동적 절단으로 해석되지만, 지속하는 과거의 기억이 논의되는 2, 3장을 함께 고려할 경우 동적인 절단으로 평가된다. 들뢰즈는 내재성의 평면이 갖는 양의성 중 후자를 강조하면서 운동-이미지를 지속하는 전체의 동적인 절단으로 성립시킨다. 『베르그손주의』에서 들뢰즈는 베르그손이 미적분을 비판했을 뿐만 아니라 그에 상응하는 철학적 미적분을 질적인 차원에서 사유했다고 강조한 바 있는데, 이러한 강조는 프레임과 몽따주 사이의 숏으로 운동-이미지의 위상을 규정했던 쁠랑 개념의 전제로서, 들뢰즈가내재성의 평면을 동적인 절단으로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how Deleuze. movemenr-image is established in Cinema. As the movement-image is concept that is born between bergson. Matter and Memory and early film history, this paper begins by defining the meaning and status of the movement-image, then go on to how to be established the movement-image. First, the movemenr-image is not just a moving image but the image to express the mobility of movement. As the mobility is the concept that is established when Bergson thinks the nature of movement not as the form of the moving but as the movement in itself, it is expressed the moment the movement intervened into the screen when mobile camera takes the moving, that is the moment the image is internally contacting the movement by the hyphen ‘-’, and varies through montage in Cinema. As Deleuze defines the movement-image with the French concept of plan, he explains status of shot that interconverts the whole movie and partial objects which keep going up and down between motage and frame. As the French plan is Deleuze. term that involves both has shot and plane, shot composes unity like Bergson. qualitative multiplicity as if a melody composes music by interpenetrating another instead of breaking into a number of notes as plane composes total plane without transcendence, that is the plane of immanence. So then the movement-image is established as the mobile cut of the enduring whole. The problem is how Deleuze. philosophy of cinema that is based on the chapter 1 of Matter and Meomory is establid although Bergson criticizes a film in the chapter 4 of Creative Evolution. Bergson criticizes the film because it produces the false movement by making immobile photographs, that is a series of frames to move fast. As the film that Bergson criticizes is the shot of early film without the idea of montage, it differs essentially with the movement-image that Deleuze presents as the image of cinema. Deleuze establishes the concept of movement-image emphasizing the point that the image that Bergson presents in the chapter 1 of Matter and Meomory is the mobile cut that corresponds with the shot. As the image of the chapter 1 is the one coming before a subject separates from an object, it is the plane of immanence that is summarized in the formula of image=movement=matter in the chapter 4 of Cinema1. Though the plane of immanence is interpreted as the photograph, that is the immobile cut in the chapter 1, it is evaluated as the mobile cut in the case of considering both the chapter 2 and 3 that discuss the enduring memory of past. Deleuze establishes as the mobile cut of the enduring whole while emphasizing the latter in the ambiguity of the plane of immanence. In Bergsonism Deleuze has emphasized the point that Bergson not only criticize a differential and intergral calculus but also think the philosophical differential and intergral calculus that corresponds with it in the qualitative dimension, and this accent is the reason why Deleuze can evaluate the plane of immanence as the mobile cut, as it is premise of the French concept of plan that defines the status of the movement- image as shot between frame and montage.

1. 들어가며
2. 운동의 운동성(mobilite)을 표현하는 이미지
3. 지속하는 전체의 동적인 절단
4. 나오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