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40.207
18.188.40.207
close menu
KCI 등재
발달장애학생의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지도 경험과 요구의 탐색
Examining Teachers` Experiences and Needs for Enhancing Reading Engagemen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정은 ( Jueng Eun Lee ) , 손지영 ( Seon Jin Seo ) , 서선진 ( Ji Young Son )
지적장애연구 16권 3호 123-151(29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183819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학생의 독서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사들의 지도경험 및 지원 요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학생의 독서교육에 관심과 경험이 많은 초등특수교사 3명, 중등특수교사 4명, 그리고 통합학급 일반교사 1명 등 총 8명이 초점집단 면접에 참여하였다. 면담은 4명씩 두 조로 이루어졌고, 연구자들이 개발한 반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교사들의 독서 지도경험과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자유롭게 보고하도록 하였다.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1) 교사들이 인식하는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독서의 필요성 및 기대되는 성과, 2) 교사들이 경험한 발달장애학생 독서교육의 어려움, 3) 교사들의 독서교육을 위한 노력, 그리고 4) 발달장애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인식개선과 인프라 구축에 대한 지원 요구라는 4개의 주제와 그에 따른 총 16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학생의 독서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독서교육의 요소와 전략을 밝히고 발달장애학생의 장애특성을 고려한 독서교육의 환경 개선과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experiences, and supports need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erms of teach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ngage in reading. To accomplish this goal, a total of eight instructors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This group of instructors consisted of thre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u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one general education teacher, all of who were interested and experienced in providing reading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terviews were held in two groups of four, and conducted in a manner in which the interviewees freely respond to the questions given by researchers. Their conversat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for analysis. By analyzing these conversations, four topics along with fifteen sub-topics were identified. These four topics were: (1) the expected outcomes and the need for reading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described by instructors, (2) the challenges that lie in reading instruction as experienced by instructors, (3) the efforts made by instructors for better reading education, and (4) the supports needed for improving perceptions and establishing infrastruc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mponents and strategies for successful reading education and supports necessary for improving reading environm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