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186.164
18.216.186.164
close menu
KCI 등재
한,일 대학생의 사회적 언헤도니어 경향과정신건강 변인 사이의 관계에 관한 경로분석 비교연구
Comparative research of path analysis on Korean-Japanese college students social anhedonia tendency and mental health
이상란 ( Sang Lan Lee )
상담학연구 15권 4호 1365-1384(20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16530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언헤도니어 경향과 정신건강 변인 즉 우울, 분노, 사회불안 사이의 경로를 분석, 차이를 비교하고 궁극적으로 한국대학생의 사회적 언헤도니어 경향에 대처할 심리상담 개입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서울, 인천, 충북에 소재한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학생, 도-쿄에 소재한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총 452명을 대상으로 42개 문항으로 구성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다집단경로분석의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적 언헤도니어 경향은 우울, 분노, 사회불안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설정한 연구모형의 경로계수에서 한국 대학생은 모든 경로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일본 대학생은 사회불안이 분노에 미치는 경로계수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의 결과를 요약하면 사회 불안은 사회적 언헤도니어경향을 거쳐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우울이 다시 분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아울러 사회불안은 우울과 분노에도 직접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어, 사회불안이 본 연구에 있어서 모든 정신건강 변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한국대학생의 사회적 언헤도니어 경향에 대한 예방은 사회 불안에 대한 조기 대응하는 것이 관건이며, 우울과 분노 역시 사회불안에 대한 적절한 개입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 하였다. 자기감정 인식과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대인 만족도를 높여 나가는 접근이 유효할 것이다.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path between social anhedonia tendendy, depressison, social anxiety and anger, and to explore direc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in anhedonia tendency. Subjects of survey were 452 students who belong to four colleges at Seoul, Incheon, and Chungbuk in Korea, who belong to two colleges at Tokyo in Japan. Survey of questionnaire composed by 42 question items was investiga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FIML) of multi-group path analysis. Social anhedonia tendenc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pression, social anxiety and anger. The path coefficient of the modified research model showed also all significant in Korea students. But Japan students don’t showed in influence of social anxiety on anger. In summary, the results of Korea students, influence of social anxiety on depression via social anhedonia tendency, and influence of depression on anger were effective. In addition, influence of social anxiety on depression and anger were effective. That is, it is confirmed that influence of social anxiety in all variable of mental health in this study. The key to prevention of the social anhedonia tendendy is in early intervention for social anxiety. Group counseling for identifying of self emotion will be useful for improving interpersonal satisfac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