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149.242
18.224.149.242
close menu
KCI 등재
ACT를 기반으로 한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ACT based Stress Management Counseling Program for Employees and its Effectiveness in the Workplace
전민아 ( Min Ah Cheon ) , 왕은자 ( Eun Jja Wang )
상담학연구 15권 4호 1403-1424(22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16532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전념치료(ACT)를 기반으로 하고 마음챙김을 과정변인으로 하여 직장인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CT를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탈중심화를 주요 기제로 하였으며 마음챙김을 과정변인으로 강화하였고, 프로그램 개발모형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스트레스 관리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준실험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프로그램 홍보자료를 접하고 자발적으로 상담을 신청한 서울 소재의 교육원 직원을 대상으로 한 집단 I의 실험집단 9명과, 경기도의 벤처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한 집단 II의 실험집단 7명으로 구성하였으며 대기자집단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였다. 개발된 스트레스 관리 상담프로그램을 두 기관에서 연구자가 실험집단 I, II에 실시하였다. 처치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에 탈중심화, 직무열의의 수준을 측정하였고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점수의 차이를 가지고 공변량분석을 하였다. 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직장인은 통제집단에 속한 직장인과 비교하여 탈중심화와 직무열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담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기업 현장에서 자발적으로 상담을 신청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여 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CT-based counseling program that helps white-collar employees cope with their stres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o develop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for stress management, ACT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program, and decentering is the main mechanism and mindfulness is process mediato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wo groups were formed for this study, Group I and Group II. Group I was from volunteers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in Seoul and had 9 subjects in the experiment group. Group II was from the startup company in Gyonggi-do and had 7 subjects in experiment group. A waiting group was the control group. The counseling program for stress management was run at two experiment group, Group I and Group II. To evaluate the impact of this program on its participants, this study was measured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level of decentering and work engagement. The study was performed by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the pre-treatment score as the Covariance to Control.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of decentering and work engagement in experiment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that this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to decrease job stress and increase work engagement. Lastly, the contribution of this thesis is that this counseling program was conducted by volunteers in real workplace settings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