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85.180
3.137.185.180
close menu
KCI 등재
다층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정체성: 인도네시아 북부술라웨시 토모혼 지역에 대한 민족지학적 연구
Socio-cultural identities in multilayered contexts: An ethnographic study of Tomohon, North Sulawesi, Indonesia
김예겸 ( Ye Kyoum Kim )
UCI I410-ECN-0102-2015-900-000160936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 북부술라웨시 미나하사 (Minahasa) 지역(region)에 살고 있는 토모혼 (Tomohon) 지역주민 간에, 즉 ‘상상된 (imagined)’ 토착 공동체들, 마을단위들 또는 하부종족들 (sub-ethnic groups) 간에 나타나는 다층적 맥락들을 면밀히 검토해보고, 이러한 다층적 맥락들이 어떻게 사회문화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특히, 사회문화적 정체성의 다층적 맥락들, 즉 근원적인 문화적유대감 및 토착 공동체들의 공간적 변화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종족성 연구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온 프레드릭 바스 (Fredrik Barth)학파의 이론적 토대의 문제점을 제기한다. 또한 본 논문은 토모혼지역이 지역분권화와 지방자치의 영향 하에 2003년 ‘kotamadya (자치시)’로 승격된 이후 강화되어온 하부지역적 (sub-regional) 맥락들을 감안하여 광범위한 의미에서의 미나하사 지역주의나 국가단위의 민족주의적 관점 보다는 토모혼 공동체들 간에 존재하는 하부지역적 요소들의 역동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논문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착적인 창조설화와 미나하사 지역의 근원적 구성과정등을 검토하면서 토모혼 주민들의 근원적인 정체성, 즉 ‘미나하사사람들’로서의 정체성의 형성요인들을 살펴본다. 둘째, 토착 공동체들의 공간적 변화에 따른 사회문화적 정체성의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식민지시대 이래의 행정단위 변화를 살펴보면서 현대적 행정공간단위인 ‘토모혼’ 지역의 내부적 그리고 외부적 형성과정을 심도 있게 살펴본다. 셋째, 앞서 언급한 토모혼 주민들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정체성의 다층적 맥락들에 대한 현재적 해석을 시도하면서 세 가지 유형의 정체성, 즉 ‘상상된 정체성’, ‘종족-인지적 정체성’ 그리고 ‘공간기반 정체성’을 제안하고, 더불어서 이들 세 가지 유형의 정체성들이 현대 토모혼 지역에서 어떻게 경합하여 표출되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토모혼 지역 주민들의 다양한 정체성의 변화를 주민들의 ‘의식’과 ‘인식’의 관점에서 재조명하면서 결론은 맺는다.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ultilayered contexts of the Tomohonese, thereby identifying how these contexts have influenced the contested identities between different Tomohonese communities, that is between their villages or different ‘imagined’ indigenous territories due to the former indigenous boundary of ‘walak’ or different sub-ethnic group of origin. Given that the sub-regional territory-based identity of Tomohon has become apparent since the Tomohonese area officially became a kotamadya on 4 August 2003, it will primarily consider the sub-regional contexts of the contested identities between the Tomohonese communities and will not go in for the dense debate over the broader regionalist and nationalist contexts of Minahasan identity. In doing so, it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countervailing ethnographic evidence contesting the view of Fredrik Barth and his adherents concerning the significance of primordial bonds and territorial boundaries in the construction of socio-cultural identities. First of all,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imagined’ historicity of Tomohon as a Minahasan community and link it with the primordial identity of the Tomohonese. Then it will examine how spatial changes in the external formation of Tomohon and inside their territory since the Dutch colonial period have influenced the socio-cultural identities of the Tomohonese. After this, it will proceed to talk about three types of identities, that is ‘imagined’, ‘ethno-cognitive’ and ``spatial`` identities, and then it will move on to discuss the ‘contested-ness’ among the three types of identity. Lastly, it concludes that the ``contested-ness`` depends on how the Tomohonese perceive and define their socio-cultural identities in relation to their socio-cultural contexts across time and space.

Ⅰ. The Setting
Ⅱ. On Socio-cultural identities
Ⅲ. Primordial identity within an ‘imagined’ historicity of Minahasa
Ⅳ. Indigenous ‘walak Tou’muwung’ to modern ‘kotamadya Tomohon’
Ⅴ. ‘Imagined’, ‘ethno-cognitive’ and ‘spatial’ identities
Ⅵ. Conclusion
<Ref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