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3.30
3.144.113.30
close menu
KCI 등재
국어과 정의적 사고의 유형화 연구
A Study on Typing of Korean Language Affective Thinking
김종률 ( Jong Ryul Kim )
UCI I410-ECN-0102-2015-700-000158150

이 연구의 목적은 정의적 사고 유형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정의적 사고의 유형화를 모색하는 것이다. 정의적 사고의 유형은 인접 학문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를 수용하면서도 국어교육학적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인접 학문의 보편성과 국어교육의 특수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국어과 정의적 사고의 유형은 국어과 사고력 신장을 위한 기반이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의적 사고의 유형화는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정의적 사고의 유형 설정의 대강의 면모를 갖추어 보았다. 정의적 사고는 질적 측면에서의 유형과 과정적 측면에서의 하위 유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정의적 사고의 유형은 정서적 사고, 의지적 사고, 관계적 사고, 윤리적 사고, 형상적 사고, 심미적 사고이다. 정서적 사고의 하위 유형은 고독, 공포, 동경, 분노 등이며, 의지적 사고의 하위 유형은 지조, 절개, 정직, 진실 등이다. 관계적 사고의 하위 유형은 사랑, 자비, 존중, 배려 등이고, 윤리적 사고의 하위 유형은 정의, 의리, 신의, 책임 등이다. 그리고 형상적 사고의 하위 유형은 비유, 상징, 심상, 감정이입이며, 심미적 사고의 하위 유형은 숭고, 우아, 비장, 골계이다. 그런데 정의적 사고의 각 유형은 위계성이나 절대성보다 상호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정의적 사고의 유형은 각 유형끼리 상관적이며, 그 하위 유형은 하위 유형끼리 상관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yping of Korean language affective thinking based on previous study. Universality of related study and specific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be considered together in the type of affective thinking. Considering this, the affective thinking may be set to type of qualitative aspect and the sub-type of processional aspect. The type of affective thinking is emotional thinking, intentional thinking, relational thinking, ethical thinking, figurative thinking, aesthetic thinking. The sub-type of emotional thinking is loneliness, fear, longing, anger etc. and the sub-type of intentional thinking is constancy, integrity, honesty, truth etc.. The sub-type of relational thinking is love[meaning as preciousness and help], mercy, respect, consideration etc. and the sub-type of ethical thinking is justice, loyalty[義理], faith, responsibility etc.. The sub-type of figurative thinking is figure, symbol, image, empathy and the sub-type of aesthetic thinking is sublimity, elegance, tragic, comic. These the type of affective thinking and the sub-type of emotional thinking has a correlation rather than hierarchy or absoluteness with each.

I. 머리말
II. 선행 연구 검토
III. 정의적 사고의 유형 설정
IV.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