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91.22
3.145.191.22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 유형 교육의 계열성 연구
A Study on the sequence of Discourse Type Education in KFL
전은주 ( Eun Ju Jeon )
UCI I410-ECN-0102-2015-700-000158236

이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 유형 교육의 개념과 담화 유형 교육의 계열성 기준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담화 유형 교육의 계열성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뒤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대화, 토론, 토의, 발표, 면담 등과 같이 이러한 발화 연속체의 진행 과정과 표현 방식이 다른 담화와 구분되는 것을 ‘담화 유형’이라 정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한국어 담화 유형 교육’은 한국어 구두 의사소통에 나타나는 담화 유형의 형식적, 표현적 관습을 이해하고 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능력 시험의 ‘등급별 평가 기준’에서 추출한 담화 유형과 현재 국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4종의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담화 유형의 계열성을 비교하여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교재 내 담화 유형의 선정, 담화 유형별 교육 시기, 교재 내 담화 유형 간의 계열성 등에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1)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담화 유형의 선정과 계열을 표준화하여야 한다. 2) 담화 유형을 교수-학습할 때 각각의 담화 유형에 대한 교수-학습 시작점은 한국어 능력 평가의 등급별 평가 기준에서 해당 담화 유형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등급과 같거나 한 단계 아래 등급이 되어야 한다. 3) 담화 유형 교육은 교육 내용으로서 담화 유형 교육이 교육 방법으로서 담화 유형 교육보다 선행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overview the concept and the sequence standard of discourse typ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t is also aimed to critically analyze the sequence of discourse type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textbook and suggest ways for improvement. In this article, ‘discourse type’ is defined as a discrete pattern in the process and way of expression such as conversation, debate, discussion, presentation, and interview. Thus, ‘the discourse typ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means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with a goal to understand the formal and expressional custom of the discourse types in the Korean verbal communication and to use them with accuracy and effectiveness.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sequence of discourse types extracted from TOPIK rating standards and the four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textbook utilized by the universities in Korea. The result showed some issues in the intra-text choosing of the discourse types, specific stages of education for each discourse types, and the sequence of discourse types. Following poin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1) The sequence of discourse types in Korean education should be standardized. 2) Teaching or learning each discourse type should start at levels earlier than requested by the TOPIK rating standard. 3) Discourse type education as the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precede the discourse type education as the ways of education.

I. 머리말
II.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 유형 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III.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 유형 교육의 계열성 기준
IV. 한국어 교육에서 담화 유형 교육의 계열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V. 맺음말
V.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