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247.31
13.58.247.31
close menu
KCI 등재
장르 개념화를 위한 문법교육적 접근
Grammar Educational Approach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Genre"
제민경 ( Min Kyeong Je )
UCI I410-ECN-0102-2015-700-000158256

이 연구는 국어교육 연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르’ 관련 담론을 메타적·비판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언어’ 중심의 장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문학, 체계기능언어학, ESP, 수사학 전통의 ‘장르’ 개념과 그에 따른 교육 목표를 고찰하고, 이러한 전통이 국어교육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언어’ 중심의 장르 담론을 ‘전형적 텍스트 유형 vs 역동적인 사회적 실천’, ‘장르 지식 vs 언어 목록’의 관점으로 재조명함으로써, 최근에 형성된 장르 교육 담론이 결국 ‘언어’를 드러내지 못했고 그 결과 관점과 교육 내용의 적절한 통합을 이루어 내지 못했음을 비판하였다. 국어교육에서 ‘장르’가 교육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장르성’을 드러내는 ‘언어(목록이 아닌 원리로서의 문법)’에 주목해야 하며, ‘장르-텍스트-문법’의 역동적 관계를 궁구할 때 국어교육적인 ‘가르칠 것’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is research cri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genre’ defined in the tradition of each study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according to it through exploring the discourse related to ‘genre’ in Korean Education studies, and ultimately aim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genre education based on ‘languag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contemplates the concepts of ‘genre’ and the objectives of education based on them in the traditions of Literature, SFL, ESP and Rhetoric, and explores the influence of these tradition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Through the research, I particularly aimed to focus on the genre discourse based on ‘language’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hich are ‘typical text type vs. dynamic social practice’ and ‘genre knowledge vs. language list’. Based on this new approach, I criticized that the recent genre education based on ‘language’ ultimately failed to reveal ‘language’ and as a result, failed to accomplish the proper integration of perspectives and contents of education. One has to focus on the ‘language (grammar as principles rather than mere lists)’ which reveals ‘genre characteristic’ in order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status of ‘gen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an provide ‘something to tea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en one has explored the dynamic relationship of ‘genre-text-grammar’.

I. 문제 제기
II. 장르 담론의 형성과 흐름
III. ‘언어’ 중심 장르 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
IV. 문법교육에서 ‘장르’ 개념화의 방향
V. 결론: 문법교육의 역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