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52.251
18.117.152.251
close menu
KCI 등재
K-POP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 : YouTube 조회수와 Google 검색을 중심으로
Impact of K-POP on Export : Based on YouTube Page View and Google Search
이장혁 ( Jang Hyuk Lee ) , 김가윤 ( Ka Yoon Kim ) , 우원석 ( Won Seok Woo )
UCI I410-ECN-0102-2015-300-00012305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최근 들어 K-pop이 전 세계를 향해 뻗어나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K-pop의 확산이 우리나라에 대한 긍정적인 국가 이미지를 형성해 한국산 제품의 구매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 하에 K-pop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에서 K-pop의 확산을 보여 주는 변수로 주요 K-pop 스타들의 구글 검색량과 유튜브 조회수를 설정하여 K-pop의 국가 별 확산 정도를 2011, 2012년 측정하였다. 55개 국가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 구글 검색량과 유튜브 조회수 모두 우리나라의 수출에 양(+)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되었고 개발 산업 별로는 자동차, 가전제품과 같은 상대적으로 고가격 내구재보다는 화장품, 의류와 같은 저가격 소비재에서 그 영향이 더 확연함이 확인되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한류 영향을 주로 설문을 바탕으로 소비자 태도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한류의 주요 축인 K-pop 관련 소비자의 관심 행동을 보여 주는 구글 검색량 및 유튜브 동영상 관람수가 구매 행동을 대표하는 수출액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보여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K-pop has been spreading worldwide. Based on such phenomenon,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K-pop on export under the assumption that spread of K-pop may generate the positive image of Korea and thus may lead to the purchase of product from Korea. In the research model, the volume of Google search and YouTube page view on major K-pop stars in 2011 and 2012 are used as the variable assessing the degree of spread of K-pop in a given country.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55 countries, we confirmed that higher Google search index and YouTube page view provide a positive impact on export. At the industry level, their impact is more salient in industries of relatively low priced consumer package goods such as apparel and cosmetic than in ones of high priced consumer durable goods such as automobile and home appliances. Our main contribution lies on the analysis of K-pop`s impact by consumer behavioral data such as search and video watch volumes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which focused mainly on the change of attitude by using survey method.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III. 연구 모형 및 자료 수집
IV. 실증 분석 및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