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4.221.113
52.14.221.113
close menu
KCI 등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지각된 통제감이걱정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문제 지향의 매개효과 검증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 The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ontrol on Worry: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조성연 ( Sung Yeon Cho ) , 조한익 ( Han Ik Jo )
상담학연구 15권 5호 1647-1669(23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12310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지각된 통제감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적 문제 지향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343명의 4년제 대학생과 71명의 전문대 학생을 대상으로 걱정 척도(PSWQ),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IUS), 개정된 한국판 불안통제 질문지(K-ACQ-R), 개정판 사회적 문제 해결 척도(SPSI-R) 중 부정적 문제 지향을 실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학교차와 성차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네 변인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지각된 통제감, 부정적 문제 지향 간의 구조적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부정적 문제 지향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지각된 통제감을 매개하였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지각된 통제감의 직접 경로 또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정적 문제 지향에서 전문대 학생의 점수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네 변인에서 유의미한 성차를 보였으나 다집단 분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 그리고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t was influenced on worry to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ontrol, and identify the role of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as a mediator.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Anxiety Control Questionnaire, and the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Revised were administrated to 343 university students and 71 vocational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ndependent t-test and multi-groups analysis were performed for comparing between groups: schools and gender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were found. Second, the structural model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perceived control and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that affects worry was proved to be appropriate. Thir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mediated the paths from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ontrol to worry, and the direct paths from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erceived control was also significant. Forth, this study showed that vocational college group scored higher on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on all variables, but multi-groups analysis indicate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