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51.214
3.15.151.214
close menu
KCI 등재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의 진로적응과정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 Career Adjustment Process of College Students Who Decided on Their Majors Based on Extrinsic Motivation
공윤정 ( Younn Jung Gong ) , 이은주 ( Eun Joo Lee )
상담학연구 15권 5호 1771-1789(19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012316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취업가능성이나 직업의 안정성과 같은 외적 동기를 우선 고려해 대학전공을 결정했다면, 진로적응은 대학입학 후 중요한 적응과제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들의 진로적응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진로적응 과정에 대한 개인면접을 실시하고, 면접결과를 근거이론의 접근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 중 진로정체성 수준이 높은 대학생 8명(남4, 여4)과 진로정체성 수준이 낮은 여자 대학생 2명이었다. 면접자료에 대한 개방코딩 결과 전체 22개의 상위범주가 나타났으며, 상위범주에 대한 초점코딩을 진행하여 범주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초점코딩 결과 도출된 진로적응 패러다임 모형에서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들의 중심현상은 ‘막연함과 답답함을 경험함’으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막연한 호감을 가지고 버팀’, ‘자기이해의 증가’, ‘전공의 유용성 인식’, ‘현실인식에 기반한 진로목표의 수립’, ‘성공경험을 통한 유능감의 형성’, ‘문제해결 중심의 적극적 대처 증가’ 등이 포함되었다. 이들의 진로적응 결과는 ‘전공에 대한 내적 동기가 생김’, ‘자율성, 적극성 등 심리내적 변화로 적응의 가속화’, ‘경험-확신-자신감-노력의 선순환’, ‘만족감, 안정감 증가를 통한 적응의 유지’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진로적응과정은 혼란과 탐색, 적응의 시작, 적응의 가속화의 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의 핵심범주는 ‘호감을 가지고 버티면서 성공경험을 기반으로 자신과 전공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받아들이기’로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Career adjustment after college entrance is an important process for college students who chose their majors based on extrinsic motivation such as employability and job stability. In this study, the career adjustment process is investigated with ten college students who decided on their current majors primarily based on extrinsic motivation.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Participants were eight college students(4males and 4 females) with high vocational identity and two female students (as a comparison) with relatively low vocational identity. Twenty-two categories were formed as the result of open coding on the interview data; the relationship among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rough axial cod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mbiguity’ after the college entrance, and tried to adjust to their majors through variou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ctions/interactions include ‘endurance of ambiguity’, ‘increase of self-awareness’, ‘recognition of the usefulness of their majors’, ‘setting career goals’, ‘increase of competence through successful experiences’, and ‘increase of active coping strategies’ etc. As they adjust to their majors, they reported to experience intrinsic motivation, an increase of autonomy, a positive cycle of an experience- assurance-confidence-efforts, and an increase of satisfaction in their majors. The process of career adjustment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confusion and exploration’, ‘the beginning of an adjustment’ and ‘the acceleration of an adjustment’. The core category of career adjustment was identified as ``accepting the self and the major based on both the extended knowledge and the successful experiences, while persisting to the end with being well- disposed toward the major.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escrib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