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96.184
18.117.196.184
close menu
KCI 후보
한국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이주민의 인식과 수요조사 연구: 재한 중국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A Research of Immigrant`s Recognition and Demand on Social Integration Policy in Korea: Focused on the Case of Chinese in Korea
김혜련 ( Hui Lian Jin )
UCI I410-ECN-0102-2015-300-000093414

이주의 시대가 도래됨에 따라 한국의 이주민도 급증하고 있다. 2014년 현재 한국에 체류 하고 있는 외국인은 이미 160만 명을 초과하였다. 이는 한국사회의 다문화·다인종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앞으로 한국 체류 이주민은 계속 증가하고, 그에 따라 인종, 민족, 문화 다양성도 증대될 것이며, 이러한 다양성을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가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이 연구는 재한 중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책 대상자 입장에서 사회통합정책을 분석하였다. 즉, 현행 사회통합정책 에 대한 이주민의 정책 만족도와 수요를 조사하여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 과, 이주민은 한국사회 적응과정에서 차별과 편견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사회통합정 책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이주민의 수요를 간과한 채, 획일적으로 사회통합정책을 추진한다고 응답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 연구는 맞춤형 사회통합정책 추진, 이주민 정치참여 확대, 사회통합 시민교육 추진, 사회통합 전문 가 양성 등 새로운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As the era of migration has come, immigrants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In 2014, the number of the foreigners who are staying in Korea is already more than 1.6 million. It indicates that Korea is rapidly becoming a multicultural and multiethnic society. As foreign residents in Korea continue to increase, racial,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will increase in the future. So, how the diversity integrate will emerge as an important national task. In this context, the study analyzes social integration policy from the view of object of policy through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Chinese in Korea. In other words, it tries to find out what the problems are by investigating immigrant``s policy satisfaction and demand on social integr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mmigran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by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social integration policy appeared to be low. Moreover, the current social integration policy has been promoted uniformly, starting at the national interests but overlooking the immigrant``s deman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hows the new policy directions such as promoting customized social integration policy, expanding political participation of immigrant, guarantee of social equality of immigrant through the provision of laws and system, driving civic education and training professionals for social integration, etc.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대상 및 방법
Ⅳ. 이주민의 인식·수요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