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13.201
3.129.13.201
close menu
KCI 후보
「토끼전」에 나타난 다문화적 요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ulticultural Requisite of 「Tokkijeon」
김경희 ( Kyung Hoi Kim )
UCI I410-ECN-0102-2015-300-000093429

판소리계 소설 「토끼전」의 토끼와 자라는 사회적 위치는 다르지만, 봉건 사회에서 타자의 처지에 있었고 보다 나은 삶을 위해 이향했다. 그리고 이향한 사회에서 처음에는 어수룩한 모습을 보여 주었지만, 정주자와 이주자의 관계에서 점할 수 있는 이주자의 우위를 활용하여 위기를 극복한 점에서 유사한 존재이다. 그렇지만 토끼는 존재의 전환을 모색할 수 있었던 반면 자라는 그렇지 못했는데 이는 이향을 체험한 이후 자아와 사회에 대한 성찰 여 부의 결과이다. 용궁 체험 이후 토끼는 봉건 사회의 모순을 직시하고 새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주체적 자아로 거듭났지만, 자라는 육지 체험과 토끼와의 만남 이후에도 봉건 사 회의 모순을 자각하지 못한 수동적 자아에 머물렀다. 이를 통해 자아가 정주자든 이주자든 자신과 상대방 그리고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행동하느냐에 따라 그의 삶의 향방이 달라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first, although Tokki and Jara in Pansori novel 「Tokkijeon」 had different social position, they were in the same situation of the other in a feudal society. In the second, they left their native place to lead a better life. In the third, they showed dopey figure in the moving society, however later they utilized holding a dominant position of an immigr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ttler and an immigrant, and finally overcame a crisis. Viewed from three sides, they were very similar characters. But Tokki could seek an ontological change, while Jara could not. This results were caused by success or failure of introspection about self, the other and society since they experienced leaving home. After the experience in the palace of sea king, Tokki faced up to a contradiction of the feudal society and became an independent ego who could lead a new life. On the other hand after the experience on land and meeting Tokki, Jara remained in a passive ego who could not get out of the limit of the feudal society. I made certain that a direction of life depended upon how the ego realized the other and the world, and behaved properly.

I. 들어가며
Ⅱ. 이향의 특성과 과정
Ⅲ. 정주자와 이주자의 관계적 특징
Ⅳ.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