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6.97.64
3.136.97.64
close menu
KCI 후보
지방자치선거와 이주민의 참정권
Municipal Election and Franchise of Immigrants
임형백 ( Hyung Baek Lim )
UCI I410-ECN-0102-2015-300-000093434

이 논문은 이주민의 참정권을 다루고 있다. 헌법학계의 통설적인 입장은 참정권이 국민주 권의 권리이기 때문에 외국인 이주민에게는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본다. 한편 우리나라에 서도 외국인 인권에 관한 세계적 추세를 반영하여 2005년 「공직선거법」을 개정하여, 2006 년 5월 31일에 실시한 지방선거에서 우리나라 영주권을 취득하고 3년 이상 거주한 19세 이상의 외국인 6,726명에게 선거권을 부여했다. 하지만 피선거권은 여전히 부여되지 않고 있다. 결혼이민자도 국적이 없어도, 대통령과 국회의원 선거를 제외한, 지방 선거에는 투표 할 수 있다. Ⅱ장에서는 이주민의 참정권에 대한 다른 나라의 입장, 그리고 찬성론과 반대론을 고찰하고, Ⅲ장에서는 다문화주의 정치 모델을 고찰하고, 이주민의 참정권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 쳤던 사례로 이스라엘, 미국, 캐나다, 독일을 고찰하였다. Ⅳ장에서는 각국의 이주민 참정 권 제도를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일본의 사례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look the franchise of immigrants. First this paper overlook the effect of franchise of immigrants through several case study. In countries such as, Israel, USA, Canada, Germany franchise of immigrants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result of some vote. Second, this paper overlook the franchise of immigrants of USA, United Kingdom, Germany, Australia, Japan. Generally, many countries disallowed immigrants to vote on their elections. Many countries allow franchise to their nation. But many countries permit immigrants to vote as an exception. There are about millions of immigrants in Korea. The number of immigrants in increasing. In a relative sense, Korea has open electoral system. The immigrants were unqualified to run for an election. According to majority opinion, the constitution forbid immigrants to run for en election. It would be premature to allow immigrants to run for an election. And it have substantial inconsistencies with the particularity of Korea. Especially, public feeling can be distorted in ethnic enclave. Proper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immigrants is more important than to allow immigrants to run for an election. Many immigrants living in Korea say the country``s homogenous makeup makes it especially difficult to fit in, and they don``t see that changing without the government``s help. But Korea allow the franchise of immigrants and allow to vote on municipal election.

I. 서론
Ⅱ. 이주민의 참정권에 대한 찬반론
Ⅲ. 이주민 참정권의 영향력
Ⅳ. 각국의 이주민 참정권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