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63.87
18.224.63.87
close menu
KCI 등재
음사 수록에서 교화담론의 한계와 그 이면의 의미 - 김천택과 풍몽룡의 경우 -
The Limits and the Inside meanings of the discourse of edification in including obscene language - In the case of Gim Chentaek and Feng Mengrong -
조성진 ( Seong Jin Jo )
한국시가연구 37권 213-246(34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323229

이 글은 김천택과 풍몽룡이 편찬한 가집의 서발문을 중심으로 음사 수록에서 교화담론이 지닌 의미와 한계, 그 이면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화담론이 음사 수록을 두둔하는 논리로 활용되었지만 작품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근본적으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음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김천택의 「만횡청류」 수록과 풍몽룡의 악부민가집 편찬이 기본적으로 이항의 노래와 이어(俚語)를 긍정하고자 한 데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혔다. 끝으로, 교화담론이 겉으로는 음사 수록을 정당화하는 데 일정한 기여를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표면적인 차원에 머물러 있으며, 그 이면에는 ‘정과 욕’의 시학이 자리 잡고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이 같은 시학의 변화가 情의 의미 변화와 일정한 관련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 논문은 음사 수록이라는 문학적 실천의 이면에 깔린 의미를 파헤치고 이를 통해 조선후기 시학의 주요한 변화를 포착하여, 우리 시가사의 일대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 「만횡청류」 수록을 새롭게 평가하고자 한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limits and the inside meanings of ‘the discourse of edification’(교화담론) in ‘including obscene language’(음사수록) with the prefaces and the postscripts of the compilation of collections of poems written by Gim Chentaek(김천택) and Feng Mengrong(풍몽룡). For this, I indicated a ploblem that the discourse of edification used to justify the including obscene language has fundamental limits in under-standing the true picture of the works at first. I discussed that Gim`s including ‘Manhoengcheongryu’( 만횡청류) in ‘Chengguyeong-eon’(청구영언) and Feng`s compilation of collections of ‘Yue-fu Min-ge’(악부민가) were basically derived from affirmation of common songs sung by the people and everyday language used among the people. Finally, I discussed that the discourse of edification is a ostensible reason for including obscene language, and there is a poetics of ‘emotion and desire’(정과 욕) behind that. I also pointed out that the change of poetics like this was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meaning of emotion.

1. 들어가며
2. 교화담론과 그 한계
3. 교화담론의 이면 - 이항의 노래와 이어(俚語) 긍정
4. ‘정과 욕’의 시학
5. 결론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