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200.74.73
44.200.74.73
close menu
KCI 등재
18세기 말~19세기 초가집(歌集) 편찬과 악곡 변화의 특징적 국면 -가람본 『 청구영언(靑丘詠言)』 을 대상으로 -
Characteristic Aspects of Compiling Collections of Songs and Changes of Music from the Late-18th Century to the Early-19th Century - Subjecting Garambon Chungguyeongeon(靑丘詠言) -
송안나 ( An Na Song )
한국시가연구 37권 275-303(29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323249

이 논문의 목적은 가람본 『청구영언』 (이하 『청영』)을 통해 읽어낼 수 있는 19세기 초반의 가곡 문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청영』 은 19세기 중반에 완성되었지만 그 내적 체계는 그보다 이른 시기인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의 가곡 흐름에 더 견인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19세기 초반, 다양한 악곡이 분화·파생되어 가던 양상이 잘 반영된 가집으로 드러났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청영』 은 가집 이름과 체계가 진본 『청구영언』 으로부터 시작된 18세기 가집 편찬의 전통을 대체적으로 따르고 있지만 ‘김천택 중심의 가곡 문화권’에서는 벗어난 가집이었다. 그리고 각종 서·발문과 음악 기록들이 다수 실려 있어 여러 항목을 갖추고자 한 가집 편찬자의 수집 의도를 엿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청영』 이 완성된 시기로 추정되는 19세기 중반 가곡의 가장 큰 특징은 ‘평조, 평조계면조, 우조, 우조계면조’라는 4개의 악조에서 ‘우조, 계면조’라는 양조로의 정착인데이 가집에는 이러한 조짐이 보이지 않아 우·계면 정착 이전 시기의 문화가 반영된 가집으로 파악되었다. 당대 보편적 가곡 문화와 상반된 흐름은 중대엽 항목에서도 나타났다. 18세기 후반~19세기 초·중반 편찬된 대개의 가집에서 중대엽은 악곡별로 1수 정도 수록되는데 반해 『청영』 에서는 악곡별 수록 작품이 증가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중대엽 항목이 쇠퇴해가는 시기에도 나름의 명맥을 유지하며 가창·전승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청영』 의 이삭대엽 항목은 불규칙적인 편제 양상을 보이는데 이러한 모습은 지속적인 보충·보완을 통해 이삭대엽을 완비하고자 한 편자의 노력을 의미한다. 또한 농·낙·편 계열의 다양한 악곡이 생성되면서도 선호도는 이삭대엽을 비롯한 본가곡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만횡 낙시조 편삭엽 농가’를 통해 여실히 드러났다. 흔히 ‘소가곡’이라 이르는 농·낙·편의 악곡은 이미 분화되었으나 해당 악곡별 레퍼토리가 확정되지 않아 『청영』 에는 이들 악곡명이 하나로 묶여 수록된 것이다. 다시 말해 이 가집이 향유된 문화권에서 이삭대엽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기 때문에 당대에 파생되기 시작한 악곡별 맞춤형 노랫말을 굳이 정할 필요가 없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intend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culture from the late-18th century to the early-19th century after studying the system of Garambon[Bibliotheca Garam] Chungguyeongeon(Chungyeong). Features of Chungyeong are the multiple prefaces no other songbook has been recorded. And it reflected more early time`s music systems than 19th century when collections of songs was compiled. In spite of these features, Chungyeong has not studied due to the difficulty of interpretation. Perhaps, by such features, it is recognized as a unusual collection of songs compared with other collections. Brief explanations of the features of Chungyeong are as follows. First, Chungyeong follows Jinbon[珍本] Chungguyeongeon in name and the system of collection of songs but it was not nearly influenced by Kim Cheontaek. Second, it shows intentions which had collected more pre-postfaces and musical records than other collections. Third, Chungyeong is estimated to be compiled in mid-19th century, but a tonal distribution characterized of the time-Woo-jo and Gyemyoun-jo, settling two musical tones-does not appear. Fourth, there was high probability of singing Joongdaeyeop without extinction because the Joongdaeyeop had been increased. Fifth, there are many compiler`s efforts to supplement the works of the Yisakdaeyeop items constantly. At last, Nong-Nak-Pyeon had been divided, but they did not completely settled in Gagok Hanbatang repertoire. Thus, the currently passed down Chungyeong was compiled in mid-19th century, but it is reflected various changes and unique features of the Gagok culture from the late-18th century to the early-19th century well.

1. 머리말
2. 가집 서문 기록을 통해 본 편찬 특징
3. 18세기 말~19세기 초 가곡 가집의 악곡 변화상
4. 맺음말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