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4.109
3.21.104.109
close menu
KCI 등재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위한 교과별 수업 의사소통 사회과교육의 성격과 사회과 수업에서의 의사소통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he Communication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설규주 ( Kyu Joo Seol )
화법연구 26권 45-74(30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324539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 현상 속에서 의사소통이라는 것이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과 수업에서 의사소통의 활성화와 내실화를 위한 노력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를 통해 살펴보면,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측면에서 의사소통이라는 내용 요소가 일정 부분 녹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과교육의 전통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지식의 상대성을 강조하는 반성적 탐구 전통에서 의사소통이 활발히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부분은 사회과에서의 의사소통을 활발히 하는 데 유리한 조건과 배경이 될 수 있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는 국책교과로서의 사회과의 성격, 시민성 전달 전통을 강조하는 교사들의 선택, 사회과는 암기과목이라는 인식, 사회과 속의 어려운 용어, 사회과 수업의 관행 등이 실제 사회과 수업에서의 의사소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동하기도 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회과 수업의 목표 환기, 교육과정 속에 의사소통 내용명시, 사회과 교사의 의사소통적 내용교수지식(PCK) 발휘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realities of communication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ideas of activating communications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To begin with, it can be found out that the essential elements related to communications are reflected in the 2009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reflective inquiry tradition’ stimulates more communications than other two traditions(citizenship transmission and social science). These can be advantageous conditions for better communication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But there are also several obstacles to the active communications in social studies instruc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as an instrumental subject for national policies, the social studies teachers’ preference to citizenship transmission tradition, the general recognition that social studies is a subject which emphasizes learning by memory, and some practices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s etc. In order to improve these situations, several things are needed. These are some examples: calling the attention to the goal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clarifying the content about communicatio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display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ir instructions.

1. 서론
2. 의사소통의 의미와 범위 및 사회과 관련 선행 연구
3. 사회과 교육과정 속에 반영된 의사소통 관련 요소
4. 사회과 특성에 따른 지식관과 사회과 수업 속 의사소통 양상의 단면
5. 결론: 사회과 수업 맥락에 맞는 의사소통의 활성화를 위하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