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01.95
3.138.101.95
close menu
KCI 등재
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위한 교과별 수업 의사소통 문학 수업에서의 질문과 대답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중심으로-
Question and Answer in the Literature Instruction - Focusing on Kim So-wol`s "Azaleas Flower"-
최미숙 ( Mee Sook Choi )
화법연구 26권 111-141(31pages)
UCI I410-ECN-0102-2015-800-002324559

이 연구는 대화 중심의 문학 수업에 대해 다루되, 대화의 핵심이라할 수 있는 ‘질문과 대답’, 특히 질문의 방식에 초점을 두어 논의하였다. 기존의 문학 수업이 대부분 ‘형식적 질문-대답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면서 문학 작품 해석 수업은 ‘심미적 질문-대답의 구조’를 지향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심미적 질문-대답’을 위해서는 ‘기대 지평’을 전제로 한 ‘왜’라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독자가 자신의 기대 지평을 바탕으로 텍스트의 지평과의 대화를 통해 질문하고 대답하면서 해석 과정에 참여할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필요하다. 지평 간 대화의 방식에 따라 ‘번역으로서의 해석’, ‘독백적 해석’, 심미적 질문-대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심미적 해석’이 가능한데, 문학 수업은 심미적 해석을 지향해야 한다. 심미적 해석에 필요한 두 단계의 질문을 중심으로 하여 대화를 나눌 필요가 있는데 그 첫 번째 단계는 ‘놀람’으로부터 시작하는 예비적 단계의 질문이며, 두 번째 단계는 ‘놀람’이 미적 경험에 의해 재구조화되면서 제기되는 질문이다. 문학 수업에서는 두 단계의 질문 방식을 중심으로 학생 스스로 질문하고 대답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러한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d the specific directions of questions and answers in literature instruction. Criticizing that most of traditional literature instructions are carried out through ‘formal question-answer,’ this study proposed that instructions on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work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aesthetic question-answer.’ For ‘aesthetic questions-answers’, we need to start from the question of ‘why.’ What is more, the reader should understand and interpret a work through dialogue with the horizon of the text based on the horizon of his/her expectation. Based on this, furthermore, the interpretation should be ‘aesthetic interpretation’ rather than ‘interpretation as translation’ or ‘monologic interpretation.’ Literature instruction needs to employ the method that the student asks questions and answer them by himself/herself. By this method, ultimately, the student should become able to ask questions and find the answers in the course of text interpretation.

1. 머리말
2. ‘형식적 질문-대답’과 ‘심미적 질문-대답’
3. ‘심미적 질문-대답’과 기대 지평
4. ‘심미적 질문-대답’을 위한 문학 수업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