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7.244
3.141.27.244
close menu
KCI 등재
총요소생산성을 고려한 한국의 CO2 배출량에 대한 EKC 가설 검증: 지역별 CO2 배출량과 GRDP를 중심으로
EKC Hypothesis Testing for the CO2 Emissions of Korea Considering Total Factor Productivity: Focusing on the CO2 Emissions by Region and GRDP
김수이 ( Su Yi Kim ) , 정경화 ( Kyung Hwa Jung )
UCI I410-ECN-0102-2015-300-002267230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CO2 배출량과 지역별 GRDP데이터를 사용하여 EKC(Environment Kuznets Curve)를 검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서 1990년부터 2010년 기간동안 우리나라의 15개 광역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지역별 CO2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일인당 GRDP, 인구, 총요소생산성 등을 고려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이 CO2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역 U자형 가설이 성립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분석 방법은 Lantz and Feng(2006)에서와 마찬가지로 패널 GLS모델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EKC 가설이 성립하지 않았지만 총요소생산성의 경우에는 CO2 배출량과 역 U자형 관계가 성립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특히 기술진보를 대변하는 총요소생산성이 증가할수록 CO2 배출량이 증가하지만 일정수준 이후에는 CO2 배출량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This research tested the EKC (Environment Kuznets Curve) Hypothesis using the CO2 Emissions by region and GRDP. We built the panel data set on the 15 local government region from 1990 to 2010 for this analysis. GRDP, population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was considered as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regional CO2 Emissions. Analysis method in this research is panel GLS model as Lantz and Feng (2006). The results show that the EKC hypothesis did not hold in Korea but there is inverted U relationship between the CO2 Emissions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As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s, the CO2 increased but decreased after a certain level.

I. 서 론
II. 분석방법, 데이터 그리고 기술통계량
III. 계량 분석 결과
IV.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