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50.89
3.17.150.89
close menu
KCI 등재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공공영역과 행정
Hannah Arendt`s Public Sphere and Public Administration
임의영 ( Euy Young Lim ) , 고혁근 ( Hyeok Geun Ko ) , 박진효 ( Jin Hyo Park )
정부학연구 20권 3호 71-101(31pages)
UCI I410-ECN-0102-2015-300-002244319

행정은 공공성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민주주의에 주목해야 한다. 정치적 의사결정의 방식으로서 민주주의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토론을 통해 실질적인 의미를 실현할수 있다. 따라서 참여와 토론이 이루어지는 공공영역은 행정이론과 행정적 실천의 핵심주제라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학 분야에서는 공공영역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논의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글은 공공영역의 탐구에 학문적 역량을 집중한 한나 아렌트의 논의를 중심으로 공공영역의 본질적 의미를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이글은 아렌트의 공공영역에 대한 연구전개과정을 소개하고, 공공영역의 정치적, 실존적 의미를 살핀다. 그리고 행정이 공공영역의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규범적으로 논의한다.

Publicness is a keyword of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generally focuses on the public sphere in terms of deliberative democracy, and especially on the technical conditions of deliberation.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essential meanings of public sphere, which have not discussed in Public Administration. For this goal, this article relies on Hannah Arendt``s political thought. Firstly, public sphere is a political space which people discuss, compete, and finally reach an agreement. Public sphere as a political space is an associational space and an agonistic space. Secondly, public sphere is an existential space which human beings search for the meanings of life through action and speech. Existential meaning of public sphere is freedom. Finally, this article suggests some measures which public administration can do in order to realize essential meanings of public sphere.

Ⅰ. 서론
Ⅱ. 아렌트의 이론적 기획: ‘정치적인 것’의 복원
Ⅲ. 정치영역으로서 공공영역
Ⅳ. 실존공간으로서 공공영역
Ⅴ. 현대적 공공영역의 복원과 행정의 역할
Ⅵ.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